
인천시는 이달 중 국토교통부장관 기관 표창을 받게 된다.
지적재조사사업은 토지의 실제 현황과 일치하지 않는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을 바로잡아 디지털 지적으로 전환해 시민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토지활용 가치를 높이고자 2012년부터 2030년까지 진행되는 국책사업이다.
국토부의 지적재조사사업 우수기관 선정은 사업추진 실적, 공정률, 난이도, 정책기여도, 우수사례 등의 평가항목 점수로 결정된다.
인천시는 2012년 옹진군 북리지구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138개 지구 3만 7767필지에 대한 지적재조사를 추진해 사업대상 7만 0167필지의 53.8%를 완료했다.
올해는 토지현황과 지적공부가 일치하지 않은 25개 사업지구 4여 필지를 조사했으며 내년도에도 국비 8억여 원을 확보해 15개 지구 3184필지에 대한 지적재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석진규 인천시 토지정보과장은 “토지분쟁 해결과 시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지적재조사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예산 확보 및 사업량 확대를 통해 지적재조사사업이 조기에 완료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철저한 농산물 관리로 시민들 식탁 안전 위해 힘써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은 2023년 인천지역 유통 농산물 4447건에 대한 유해물질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4339건(97.6%)의 농산물이 적합했고 잔류농약 허용기준을 초과한 부적합 농산물은 유통을 차단했다고 25일 밝혔다.보건환경연구원은 농산물 중 시민들이 많이 소비하거나 유해물질 허용기준을 자주 초과했던 품목을 위주로 삼산‧남촌 공영도매시장에 반입된 농산물 3433건과 대형할인점, 온라인 등에서 유통되는 농산물 1014건을 수거해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하고 중금속(납, 카드뮴), 방사능 검사 또한 일부 병행했다.
잔류농약 허용 기준을 초과해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산물 108건(2.4%)은 들깻잎 등 국내산 97건과 건고추 등 수입산 11건으로 즉시 전량 압류·폐기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및 관할 지자체에 긴급 통보해 유통 차단과 과태료 부과·행정지도 등의 조치가 이뤄지도록 했다.
특히 올해는 5년간(2019년 ~ 2023년) 검사 결과를 분석해 농약 성분 정보와 올바른 사용법 등을 담은 홍보물을 만들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인천사무소와 함께 농업인에게 배부하는 등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권문주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도매시장뿐만 아니라 온라인, 식자재마트, 로컬푸드 판매점 등 다양한 유통 경로로 소비되는 농산물을 촘촘히 감시해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농산물이 시민의 식탁에 오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