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오리지널 '경성크리처'는 시대의 어둠이 가장 짙었던 1945년 봄, 생존이 전부였던 두 청춘이 탐욕으로 탄생한 괴물과 맞서는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한소희는 극 중 토두꾼 '윤채옥'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쳤다. '채옥'은 갑작스레 사라진 어머니를 찾기 위해 뛰어난 정보력을가진 전당포 사장 '태상'(박서준 분)을 찾는다. 성격이며 사상이며 어느것 하나 맞지 않았던 두 사람이지만 일련의 과정을 겪으며 함께 위기를 극복하고 '채옥'의 어머니를 찾기 위해 노력한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장면은 괴물로 변한 어머니의 촉수에 찔리고 '우리 이제 그만하자'고 말하는 신이에요. 촬영 할 때도, 완성본을 보고도 그 장면이 오래 오래 마음에 남더라고요."
"엄마(괴물)가 난동을 피우게 된 건 '모성애'가 남아있어서였어요. 그리고 그걸 막을 수 있는 건 오로지 '채옥' 뿐이었죠. 엄마에게 '이 사람 제가 연모하는 사람이다'라고 고백하면서 '이제 우리 그만하자'고 애달프게 털어놓는 장면이 계속 계속 가슴에 남아있어요. 그 말이 유달리 슬프더라고요."

한소희는 '채옥'과 '태산'의 사랑을 두고 "전우애"라고 표현했다. 단순히 남녀 간의 사랑이라고 정의 내리기에 그들이 나누는 감정이 너무도 깊고 뜨겁다는 설명이었다.
"그 사랑의 바탕에는 전우애가 있었을 거예요. 단순한 남녀의 사랑이 아니었죠. 그 시대 속 겪지 않아도 될 일을 함께 이겨내며 쌓인 감정이잖아요. '로맨스'라고 하면 그런 시련을 사랑으로 극복해내는 건데. 이들의 마음을 로맨스로 정의 하기에는 너무도 깊다고 봐요."
그는 '채옥'과 '태산'의 감정이 가장 잘 드러나는 장면을 언급하며 해당 장면으로 하여금 두 사람의 전우애가 느껴진다고 부연했다.
"'채옥'이 '태상'에게 '함께 해줘서 고맙다'고 말하고, '태상'은 '채옥'에게 '죽지 마시오'라고 말해요. 그리고는 서로 각자의 길을 가죠. 저는 거기에서 사랑을 느꼈어요. 이 사람을 너무 사랑해서 너무 간절하기 때문에 그냥 보내준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죽지만 말아달라'고 들렸죠. 각각 하고자 하는 대의가 있었기에 막을 수 없는 것까지 사랑처럼 느껴졌어요. '여기서 기다릴게' '구해줄게' 그 어떤 말도 아니고 그 자체의 '수긍'이 사랑 같았어요. 그 시절은 이별이 곧 죽음이었을 거라고 보거든요. 그들에게 이별은 큰 용기고 엄청난 사랑 속에서 일궈져나간거였겠죠."
한편 '경성크리처'는 2023년 12월, 2024년 1월 파트1과 파트2를 차례로 공개했다. 당시 파트2는 공개된지 3일 만에 넷플릭스 글로벌 TOP 10차트 기준 비 영어권 작품 TV 시리즈 부문에서 3위를 차지했다. 총 22개국에서 TOP 10을 지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