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금 청구 전산화 서비스에 가입한 사람이 6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서 등 종이 서류를 병원에서 발급받지 않아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서비스가 출시된 지 한 달 만의 성과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위원회와 보험개발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비스 앱 ‘실손24’에 가입한 사람은 지난 22일 정오 기준 약 60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실손24를 통한 보험금 청구 건수도 매주 증가하고 있다. 출시 1주차 3134건이던 청구 건수는 2주차 5434건, 3주차 7168건, 4주차 1만316건 등으로 상승 곡선을 그렸다. 보험금 직접 청구가 쉽지 않은 고령 부모나 미성년 자녀를 대신해 청구한 사례도 약 3000건에 달했다.
다만 서비스 병원들의 참여가 여전히 저조해 서비스 도입 초기에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25일 기준 실손24를 통해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병원은 249개다. 전체 전산화 대상기관(7725개) 중 3.2% 수준으로, 제도 시행일보다 39곳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달까지 참여를 확정한 의료기관이 병원 733곳, 보건소 3490곳이지만, 이 숫자를 확대하는 게 쉽지는 않다. 여전히 의료계 일각에서 진료 내역을 들여다볼 가능성이 있다거나 이미 민간 핀테크 업체를 이용하고 있다는 이유로 정부 주도의 전산화를 탐탁지 않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손보험금 청구 전산화 제도에 참여하지 않아도 관련법 상 제재할 근거가 없다는 점이 의료계의 비우호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도 나온다. 의료계는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에 장기간 반대해 왔는데,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굳이 우호적인 태도로 전환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금융당국과 보험개발원은 의료기관 참여와 전산 개발 등 필요한 조치를 최대한 독려할 방침이다. 의원 7만개와 약국 2만5000개로 전산화 제도가 확대되는 내년 10월을 기점으로 다시금 연착륙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이 제도가 국민을 위해 출범한 만큼 국민들이 편의성 등 변화를 조속히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나머지 의료기관 협조를 서비스를 출범 이후로 미룬 만큼 도입 초반 의료계의 저조한 참여는 예견됐던 일”이라며 “아무래도 의료계와 최대한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해 참여를 독려하는 현재의 분위기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해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위원회와 보험개발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비스 앱 ‘실손24’에 가입한 사람은 지난 22일 정오 기준 약 60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실손24를 통한 보험금 청구 건수도 매주 증가하고 있다. 출시 1주차 3134건이던 청구 건수는 2주차 5434건, 3주차 7168건, 4주차 1만316건 등으로 상승 곡선을 그렸다. 보험금 직접 청구가 쉽지 않은 고령 부모나 미성년 자녀를 대신해 청구한 사례도 약 3000건에 달했다.
다만 서비스 병원들의 참여가 여전히 저조해 서비스 도입 초기에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25일 기준 실손24를 통해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병원은 249개다. 전체 전산화 대상기관(7725개) 중 3.2% 수준으로, 제도 시행일보다 39곳 늘어나는 데 그쳤다.
실손보험금 청구 전산화 제도에 참여하지 않아도 관련법 상 제재할 근거가 없다는 점이 의료계의 비우호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도 나온다. 의료계는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에 장기간 반대해 왔는데,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굳이 우호적인 태도로 전환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금융당국과 보험개발원은 의료기관 참여와 전산 개발 등 필요한 조치를 최대한 독려할 방침이다. 의원 7만개와 약국 2만5000개로 전산화 제도가 확대되는 내년 10월을 기점으로 다시금 연착륙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이 제도가 국민을 위해 출범한 만큼 국민들이 편의성 등 변화를 조속히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나머지 의료기관 협조를 서비스를 출범 이후로 미룬 만큼 도입 초반 의료계의 저조한 참여는 예견됐던 일”이라며 “아무래도 의료계와 최대한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해 참여를 독려하는 현재의 분위기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