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이스라엘·일본과 첨단기술 협력 강화

  • 한-이스라엘 사이버보안 공동R&D 합의

  • 한-일 美 신정부 기술협력 동향 등 논의

제경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13일 서울 중구 스페이스에이드 회의실에서 기쿠카와 진고 일본 경제산업성 혁신환경정책국장과 면담을 갖고 한-일 RD 정책과 미국 신정부와 기술협력 동향 등을 논의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경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13일 서울 중구 스페이스에이드 회의실에서 기쿠카와 진고 일본 경제산업성 혁신환경정책국장과 면담을 갖고, 한-일 R&D 정책과 미국 신정부와 기술협력 동향 등을 논의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이스라엘과 일본 정부를 만나 첨단기술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이날 화상으로 개최된 '한국-이스라엘 산업기술연구재단' 이사회에서 제경희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과 알론 스토펠 이스라엘 혁신과학기술부 수석과학관은 올해 추진할 인공지능(AI), 양자암호통신, 반도체, 자율주행, 바이오 분야 협력 과제를 논의하고 차질없이 진행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양국은 지난 2001년 협력재단을 설립한 이후 매년 총 800만 달러를 공동 펀딩하고 있다. 공동 연구개발(R&D) 지원과 기술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양국 산학연간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16개 공동 R&D를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신규로 7개 안팎의 공동 R&D 과제를 추가할 예정이다.

이스라엘은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강력한 스타트업 생태계와 기술인재를 보유한 국가로 산업부는 이스라엘과의 협력이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제경희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이날 기쿠카와 진고 일본 경제산업성 혁신환경정책국장과 정부 혁신 정책, R&D 투자 방향, 민간 R&D 투자지원 방안 등 양국의 관심사에 대해 논의했다. 또 출범을 앞둔 트럼프 2기 행정부와의 기술협력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양국은 산업기술 환경 변화에 따른 협력 필요성에 공감하고 산학연 교류와 공동 연구를 확대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