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3일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 계획 및 민간참여자 공모 공고'를 공고했다. 민·관 공동 출자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는 방식으로 지분은 공공 51%, 민간 49%다. 과기정통부는 민간 참여자의 경우 국내외 최신 AI 반도체를 조합해 1엑사플롭스(10의 18제곱·100경) 규모 이상을 확보, 올해 중으로 서비스를 조기 개시하고 2027년에 정식 개소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눈에 띄는 점은 당초 오는 2030년 예정이었던 국가 AI컴퓨팅센터 개소 시점을 당초 예정보다 3년 앞당긴 것이다. AI컴퓨팅 서비스의 경우 민간 참여자의 기존 상면을 활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올해 11월 경 서비스를 조기 개시하는 방안도 병행토록 했다. 이는 그만큼 국가 차원에서 빠른 시일 내에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업계는 평가한다. 실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역시 2030년 구축은 너무 늦다며 개소 시점을 당겨야 한다는 언급을 하기도 했다.
정부는 최대 2조원 규모로 국가 AI 컴퓨팅센터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관건은 민간 투자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업은행, 기업은행이 SPC 지분의 최대 30%를 출자한다. 또 AI컴퓨팅 인프라 분야 신규 투자 기업들을 대상으로 2027년까지 투자금 2조∼2조5000억원을 정책 금융을 통해 저리로 빌려주며 올해 대출 지원 규모는 6250억원이다. 해당 금액은 AI컴퓨팅 인프라 관련 시설과 반도체·설비 구매 등에 쓰인다. 이를 토대로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확보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국산 AI 반도체 기업들의 신경망처리장치(NPU)와 프로세스인메모리(PIM) 적용을 본격화해 국산 AI 반도체 생태계 확대에도 나선다.
당초 정부는 2023년 2929억원의 예산으로 사업자 모집을 시도했지만 GPU 가격 급등에 발목을 잡히며 결국 네 차례 공고가 모두 유찰됐다. 결국 정부는 지난해 예비타당성조사 적정성 재검토를 진행해 예산을 기존 대비 53% 늘린 4483억원으로 증액했고, 마지막으로 유찰된지 1년이 약간 지난 1월 14일 사업자 등록을 받았다. 예정대로 적절한 사업자가 입찰할 경우 2월 초 사업자를 최종 결정하고, 구축 작업을 거쳐 내년 3월 베타서비스를 개시할 방침이다. 슈퍼컴퓨터 6호기 도입을 통해 한국의 슈퍼컴퓨팅 성능을 끌어올려 세계 10위권 수준의 성능(600페타플롭스)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연구소나 대학 등의 기초 AI 연구개발(R&D) 인프라 수준도 더욱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당초 지난 21일 개찰 예정이었던 일정은 현재 약간 지연됐다. 발주처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입찰 마지막 날 오전 돌연 입찰 공고를 취소하고 오후에 재공고를 올리면서 개찰 일정이 오는 2월 6일로 미뤄졌다. KISTI가 갑작스레 재공고를 한 것은 기존에 전체 장비를 다 주장비로 분류했는데, 네트워크나 보안 등 일부 장비들을 보조장비로 다시 분류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KISTI 측은 "이들 장비는 주장비로 분류될 경우 국내 생산을 입증하거나, 혹은 외국산을 들이더라도 국내에 들어올 때 보안 인증 등을 받아야 하는데 그러면 사실상 내자 형태만 가능한 것"이라며 "핵심 장비가 아닌 것들을 그래서 이번에 부속 장비로 옮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가뜩이나 6호기 도입이 1년여 넘게 늦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행정적인 문제로 인해 다시 2주가 늦춰진 것은 아쉽다는 지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