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美 황금기 위해 '관세 고통' 지불 가치 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재형 기자
입력 2025-02-03 10: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미국서 제품 만들면 관세 없어…캐나다 51번째 주 돼야"

  • '美경제 악영향' 언론보도 반박…"WSJ, 관세 로비 앞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매릴랜드주 앤드루스합동기지에서 기자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매릴랜드주 앤드루스합동기지에서 기자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결정에 고통이 따르겠지만 감내할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황금기를 위해 일부 피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불법 이민과 마약 유통 문제 해결을 강조하며 지지층에 호소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이번 관세 조치에 대해 “일부 고통이 있을 것인가”라고 반문한 뒤 “아마도 그럴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것이며 이 모든 것은 지불할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적었다. 특히 그는 “이것은 미국의 황금시대가 될 것”이라면서 “우리는 지금 상식으로 운영되는 나라이며 (관세의) 결과는 엄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따라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25%, 중국에는 추가 10%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 부과가 미 경제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현지 언론의 비판적 보도에 적극 반박하기도 했다. 그는 “관세 로비는 글로벌리스트들이 주도하며 항상 틀리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앞장서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을 비롯한 수많은 국가들이 수십 년 동안 미국을 약탈해온 사실을 정당화하려고 애쓰고 있다”며 “이는 무역, 범죄, 그리고 미국으로 자유롭게 유입되는 유독성 마약 문제를 포함한다”고 덧붙였다. WSJ는 전날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우려 등을 거론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무역 전쟁”이라고 혹평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들이 무역 등에서 미국을 상대로 약탈했다는 주장 등을 반복하며 자신의 관세 부과 조치에 정당성을 부여했다. 그는 “미국은 캐나다, 멕시코, 중국(그리고 거의 모든 나라)과의 교역에서 막대한 적자를 보고 있으며, 36조 달러(약 5경2500조원)의 부채를 안고 있다”며 “우리는 더 이상 멍청한 나라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왜 미국은 다른 나라에 수조 달러를 보조금으로 지급해야 하느냐”며 “예를 들어 왜 다른 나라는 미국 시민이 마약과 의약품에 지불하는 비용의 일부만을 지불하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면 관세는 없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게시글에서는 캐나다가 미국의 51번째 주(州)가 돼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캐나다에 수천억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왜일까.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그들이 가진 어떤 것도 필요하지 않다”며 “우리는 무한 에너지를 갖고 있고, 스스로 자동차를 만들고 사용할 양보다 더 많은 목재를 갖고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막대한 지원이 없다면, 캐나다는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없을 것”이라며 “그러므로 캐나다는 우리의 소중한 51번째 주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캐나다 국민을 위한 훨씬 낮은 세금과 훨씬 더 나은 군사적 보호, 무(無)관세(가 주어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캐나다는 전날 자국에 대한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 맞서 똑같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며 4일부터 관세가 부과될 상세한 제품 목록을 이날 공개했다. 여기에는 꿀, 토마토, 위스키, 냉장고, 변기 등 미국산 제품이 망라돼 있다. 캐나다는 전체적으로 모두 1550억 캐나다달러(약 155조60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이다. 나아가 캐나다는 무역협정 위반을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키로 했다. 멕시코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를 3일 발표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중국도 WTO에 제소할 계획임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