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반도체 특화단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고덕변전소를 찾아 전력망 상황을 점검하고 야당에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전력망특별법) 처리를 촉구했다. 인공지능(AI) 산업의 도약을 목표로 '국토 균형발전 종합 인프라'를 수립하겠다고도 밝혔다. 앞서 경제 분야 당정협의회를 연 데 이어 현장 방문까지 민생 행보를 보이고 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5일 오전 경기 평택시 소재 고덕변전소에서 열린 '전력망 확충을 위한 현장 방문 및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AI 반도체 생태계 구축뿐 아니라 기술 발전에 토대가 되는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센터에도 막대한 전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전력망특별법을 시급히 처리해야 할 이유"라며 법안 제정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번 간담회는 전력망 확충을 위한 현장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국민의힘은 고준위방폐장법·해상풍력특별법을 비롯해 '에너지3법' 중 하나로 국가기간전력망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법안은 국가기간 전력망 건설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인허가 절차를 단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반도체클러스터 등 첨단산업 시설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권 위원장은 "우리는 AI 3대 강국 목표로 함에도 전력망은 충분히 확보 못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들이 반도체 클러스터에 대규모 투자를 하려고 하면 전력 공급 문제를 풀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는 게 대표적 사례"라고 강조했다.
권 위원장은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전력망법에 협조 안 하고 발목을 잡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고, 야당이 답답하다"며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조항도 민주노총 눈치를 본다. 국가 미래 발전에 관심이 없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날 간담회를 통해 현장을 살핀 국민의힘은 에너지 중심의 국토 균형발전 종합 인프라를 구상하겠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전원(발전소 등)이 있는 지역에 기업이 이전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내용의 '전력발전연계형 기업 이전에 관한 특별법'(가칭) 입법도 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당 경제활력민생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윤희숙 의원은 간담회 참석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AI 산업 도약을 위해 국토 균형 발전 종합 인프라를 만들겠다. 미래 산업을 위해 산업단지나 도시를 계획할 때 에너지망도 함께 계획한다"며 "중간 단계로 전력망법을 빨리 통과시키겠다"고 다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