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세암병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1/20250211110017499366.jpg)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연구팀은 이러한 내용을 11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홍민희 폐암센터 교수, 윤미란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교수, 오승연‧박세원 연구원 등으로 구성됐다. 해당 내용은 국제학술지 ‘셀 리포츠 메디슨’에 게재됐다.
비소세포폐암 환자 10명 중 3~4명은 EGFR 돌연변이를 보인다. 이 중 90%는 L858R과 엑손 19 결손 변이고 나머지는 비정형 EGFR 변이로 분류한다. 대표적으로 G719X, S768I, L861Q가 있고, 두 가지 이상 변이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기존 비정형 EGFR 변이 치료제로는 2세대 EGFR 표적항암제인 ‘아파티닙’이 사용돼왔다. 하지만 일부 변이에 대한 효과가 제한적이고 내성이 발생하면 대체 가능한 방안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뒤따랐다. 3세대 EGFR 표적항암제인 오시머티닙도 치료 효과는 입증했지만, 변이마다 보이는 효과가 다르다.
EGFR 활성 돌연변이를 발현하도록 설계한 마우스 유래 세포주, PDO(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와 PDC(환자 유래 세포) 모델 대상 실험에서 병용 치료는 기존 EGFR 억제제 단일 요법보다 종양 억제 효과가 더 뛰어났다.
PDO 실험에서는 암 성장을 유도하는 EGFR 인산화 활성을 절반 수준으로 낮추는데 필요한 약물 농도(IC50)를 확인했다. 단독 치료와 병용 치료의 IC50 값은 각각 19.5나노몰(nM), 3나노몰로 나타났다. 병용요법은 단독 요법보다 약 6배 적은 용량으로 동일한 효과를 냈다.
암세포 성장주기도 G1기(세포가 증식하기 위한 다음 사이클 시작 단계)에서 정지했다. 단독 요법에 내성을 획득한 환자 세포로 만든 PDC를 통해서는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ADCC)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DCC는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살상할 수 있도록 돕는 기전이다.
이어진 동물 실험에서도 병용요법은 종양 억제 지속성을 보여줬다. 단독 요법은 치료 중단 후 바로 종양 성장이 재개했다. 반면 병용 치료는 중단 이후 약 90일 동안 종양이 자라지 않았다. 레이저티닙이 타겟 수용체 발현을 증가시켜 아미반타맙의 효능을 강화한 결과였다.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했을 때는 40% 정도가 종양 축소를 보였고 무진행 생존 기간은 기존 단독 요법보다 훨씬 긴 16개월 이상을 기록했다.
홍 교수는 “병용요법은 인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살상할 수 있도록 돕는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을 활성화해 기존 치료법 내성을 극복한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작년 미국 임상암학회(ASCO)에서 발표됐던 비정형 코호트(공통 특성 집단) 연구에 대한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MET 변이 발현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를 가진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