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화성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3/20250213171341427916.jpg)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는 2025년 새해를 맞아 시민들과 함께하는 ‘새로운 특례시의 출발, 2025년 신년인사회’가 시민들의 뜨거운 호응 속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화성특례시로서는 첫 신년인사회를 열고 지난달 14일 동탄9동을 시작으로 13일 향남읍까지 4주간 29개 읍·면·동을 모두 순회하며 1700여 명의 시민과 만났다.
이번 인사회는 기존의 일방적인 연설과 보고 형식을 벗어나, 시민들과의 직접적인 소통과 참여형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새로운 비전을 공유하고 특례시 출범을 축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사진화성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3/20250213171407134619.jpg)
각 읍·면·동에서는 지역별 개성을 살려 △케이크 커팅 △축하 영상 △샌드아트 △희망박스 △오행시 낭독 △풍선아트 △합창공연 등 다양한 퍼포먼스를 펼쳤다.
시민들은 각종 행사에 참여하며 새해 덕담을 나누고 화합을 도모하는 따뜻한 시간을 보냈다.
또한, 이번 신년인사회에서는 시민들의 다양한 현장 의견 900여 건이 접수됐으며 이는 화성특례시의 새로운 정책 발굴을 위한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사진화성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3/20250213171435167207.jpg)
지역별로는 서부권은 도로 건설 및 관광지 접근성을 개선하는 교통 인프라 확충, 동부·동탄권은 광역버스, 철도 등 광역 교통망 구축, 체육·문화시설 확충 등에 대한 의견이 많았으며 이 외에도 지역 개발 및 복지 분야 등 폭넓은 제안이 접수됐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2025년 1월 1일 특례시 출범으로 화성특례시가 출범 순으로는 전국 5번째, 인구 순으로는 4번째 특례시가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우리 시민들도 특례시민으로서 자긍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며 “특별한 시민과 함께 만드는 빛나는 도시 화성을 위해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열린 시정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민 여러분께서 보내주신 소중한 의견을 면밀히 검토하고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다”며“앞으로도 시민들의 적극적인 시정 참여를 부탁드리고 ‘나, 화성특례시에 살아’라고 마음껏 자랑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로컬푸드 직매장 우수농가 팻말 현판식' 개최
![사진화성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3/20250213171502531667.jpg)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는 13일 장안면 소재 김주형 딸기 농가에서 ‘로컬푸드 직매장 우수농가 팻말 현판식’을 개최했다.
이번 현판식은 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농가 조직화 교육을 성공적으로 수료하고, 로컬푸드 직매장에서 우수한 실적을 보인 우수농가를 격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현판식에서는 정명근 화성특례시장, 이원철 화성푸드통합지원센터 대표이사, 우수농가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표 우수농가로 선정된 김주형 농가에 현판을 전달했다.
이번에 선정된 우수농가는 총 28개 농가로, 로컬푸드 직매장에 직접 생산한 농산물을 납품하는 농가 944곳 중에서 지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의 거래건수, 판매금액, 안전성 검사, 클레임 내역, 현장점검 등 5개 항목을 평가해 선정됐다.
![사진화성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3/20250213171545514195.jpg)
화성푸드통합지원센터는 지역 농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로컬푸드 직거래 매장 7개소를 운영 중으로, 지난해 매출액 347억원을 기록했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건강하고 안전한 제철 농산물을 생산해 로컬푸드 직매장에 출하해주신 농가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라며 “앞으로도 화성시의 우수 농가들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화성특례시는 올해 농업 분야 예산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한 1964억원을 편성하고 △농어민 기본소득 확대 △프리미엄 특화 쌀(수향미) 생산 증대 △농업지원사업(상토, 병해충) 확대 △공공급식 확대 지원(학교 179개교, 어린이집 120개소, 공공기관 3개소) 등을 추진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