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가 꼽은 올해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은…AI 보안 위협이 첫 손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선훈 기자
입력 2025-02-18 13: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서울 중구 삼성 SDS 사옥 사진삼성SDS
삼성SDS 사옥의 모습. [사진=삼성SDS]
삼성SDS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발생한 사이버 보안 이슈를 분석해 2025년 주의해야 할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을 18일 발표했다.

삼성SDS는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으로 △AI 악용 피싱에 대비해야…'AI 보안 위협' △장기 방치 자격 증명 '클라우드 보안 위협' △이중갈취전략으로 진화 중인 '랜섬웨어 공격' △오픈소스 악성코드 유입 'SW 공급망 보안 위협' △초연결사회의 독 OT·IoT 보안 위협을 선정했다. 삼성SDS는 글로벌 보안 관제 센터 운영 경험을 토대로 제조·금융·물류 분야 기업 및 공공·국방 부문의 보안 전문가 400여 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청취했다.

우선 2025년에는 생성 AI를 본격적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늘면서 기업 내 보안 위협도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AI를 악용한 피싱 공격이나 악성코드 피해에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의 위협 탐지·분석, 보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삼성SDS는 기업도 AI 발전 속도에 맞춰 보안 위협에 지능형 보안 관제 시스템으로 선제 대응하는 등의 지속적 진화가 필요함을 제언했다.

클라우드 인프라 활용 확대에 따른 클라우드 보안 위협도 중요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기업들은 생성 AI, 데이터 분석 등 새로운 기반 기술과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 클라우드 인프라 활용을 늘리고 있다. 이에 대해 삼성SDS는 잘못된 클라우드 구성 변경, 장기 방치한 '자격 증명' 노출, 기존 시스템 버전의 보안 설정 등으로 인한 보안 사고 예방을 위해 클라우드 환경에 맞는 보안 플랫폼을 도입할 것을 강조했다.

랜섬웨어 역시 여전히 중요한 보안 위협 요소다. 최근에는 데이터 암호화와 함께 정보 탈취 후 공개 협박을 병행하는 이중 갈취 전략으로 진화해 그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중요 데이터와 민감 정보 등을 겨냥해 RaaS 등을 통한 랜섬웨어 공격으로 금전적 손실과 기업 이미지 하락이 우려된다. 이에 따라 기업은 외부 접속과 계정 관리 강화, 주기적 데이터 보호와 관리를 통해 랜섬웨어의 위험을 예방해야 한다고 짚었다.

오픈소스 등 외부 자원 활용으로 인한 악성코드 유입도 우려 사항이다. 최근 기업들은 내부 자원뿐만 아니라 오픈소스 등 외부 자원을 활용해 SW개발과 운영을 하고 있는데, 이로 인한 보안 위협을 예방하기 위해 삼성SDS는 기업이 SW와 IT 환경 전반에 대한 감사와 S-BOM 준비, 위험 관리 체계에 대한 능동적 대응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인터넷에 연결된 생산 시설과 관련 시스템(OT), 컴퓨팅 장치와 기기, 사물·웨어러블 기기간 상호 연결 환경(IoT)에 대한 보안 위협도 커지고 있다. 특히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OT·IoT 장치는 해커의 손쉬운 공격 목표가 되며, 연결된 네트워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침해 사고로 확대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강력한 인증 절차와 정기적 보안 업데이트 등의 기본적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장용민 삼성SDS 보안사업담당(상무)은 "AI 기술을 활용한 보안 위협은 이미 지능적이고 교묘해지고 있으며 전사적 관점의 위기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AI 기반 지능형 보안 솔루션 도입 △자체 환경에 맞는 클라우드 플랫폼 설정 △기업 정보 시스템 접근 강화 △파트너 IT 및 보안 체계 관리 △강력한 인증 및 정기적 보안 업데이트 등 조직 차원의 대응부터 파트너 대상의 IT 환경·보안 체계 관리까지 총괄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