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SDS는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으로 △AI 악용 피싱에 대비해야…'AI 보안 위협' △장기 방치 자격 증명 '클라우드 보안 위협' △이중갈취전략으로 진화 중인 '랜섬웨어 공격' △오픈소스 악성코드 유입 'SW 공급망 보안 위협' △초연결사회의 독 OT·IoT 보안 위협을 선정했다. 삼성SDS는 글로벌 보안 관제 센터 운영 경험을 토대로 제조·금융·물류 분야 기업 및 공공·국방 부문의 보안 전문가 400여 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청취했다.
우선 2025년에는 생성 AI를 본격적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늘면서 기업 내 보안 위협도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AI를 악용한 피싱 공격이나 악성코드 피해에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의 위협 탐지·분석, 보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삼성SDS는 기업도 AI 발전 속도에 맞춰 보안 위협에 지능형 보안 관제 시스템으로 선제 대응하는 등의 지속적 진화가 필요함을 제언했다.
클라우드 인프라 활용 확대에 따른 클라우드 보안 위협도 중요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기업들은 생성 AI, 데이터 분석 등 새로운 기반 기술과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 클라우드 인프라 활용을 늘리고 있다. 이에 대해 삼성SDS는 잘못된 클라우드 구성 변경, 장기 방치한 '자격 증명' 노출, 기존 시스템 버전의 보안 설정 등으로 인한 보안 사고 예방을 위해 클라우드 환경에 맞는 보안 플랫폼을 도입할 것을 강조했다.
오픈소스 등 외부 자원 활용으로 인한 악성코드 유입도 우려 사항이다. 최근 기업들은 내부 자원뿐만 아니라 오픈소스 등 외부 자원을 활용해 SW개발과 운영을 하고 있는데, 이로 인한 보안 위협을 예방하기 위해 삼성SDS는 기업이 SW와 IT 환경 전반에 대한 감사와 S-BOM 준비, 위험 관리 체계에 대한 능동적 대응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인터넷에 연결된 생산 시설과 관련 시스템(OT), 컴퓨팅 장치와 기기, 사물·웨어러블 기기간 상호 연결 환경(IoT)에 대한 보안 위협도 커지고 있다. 특히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OT·IoT 장치는 해커의 손쉬운 공격 목표가 되며, 연결된 네트워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침해 사고로 확대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강력한 인증 절차와 정기적 보안 업데이트 등의 기본적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장용민 삼성SDS 보안사업담당(상무)은 "AI 기술을 활용한 보안 위협은 이미 지능적이고 교묘해지고 있으며 전사적 관점의 위기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AI 기반 지능형 보안 솔루션 도입 △자체 환경에 맞는 클라우드 플랫폼 설정 △기업 정보 시스템 접근 강화 △파트너 IT 및 보안 체계 관리 △강력한 인증 및 정기적 보안 업데이트 등 조직 차원의 대응부터 파트너 대상의 IT 환경·보안 체계 관리까지 총괄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