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눈] 金 사재기...자유거래라서 막지 못한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연우 기자
입력 2025-02-19 14:0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온누리상품권 '꼼수' 편법거래 증가

  • 금 '꼼수 거래', 금값 상승 요인 지목

사진정연우 기자
[사진=정연우 기자]

"온누리 상품권으로 금(金) 사신 분 있을까요?"

최근 한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발 관세전쟁으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자 돈 냄새를 맡은 이들은 온누리상품권을 이용해 전통시장 근처 금은방으로 몰려들었다. 

온누리상품권을 최대 15% 할인해 구매한 다음 금을 사서 차액을 노린 것이다. 금 시세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이와 같은 '금테크' 꼼수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내수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발행한 온누리상품권이 금 사재기에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이유다. 

최근 한 달간 진행된 설 명절 특판 기간 동안 온누리상품권 판매액이 증가한 것도 이 같은 의혹에 무게를 더했다.  

논란이 커지면서 관련 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가 해명하고 나서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중기부는 일단 온누리상품권이 금값 상승에 커다란 영향을 주지는 않았을 것이라면서도 실태 파악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성섭 중기부 차관은 지난 13일 기자간담회에서 "그런 부분까지 규제하거나 감시를 강화하면 자유로운 거래를 막는 측면도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하며 지켜보겠다"고 답했다. 

이후 중기부는 전수조사를 실시한 뒤 온누리상품권을 활용한 금 구매와 금값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중 금을 취급하는 1426곳의 상품권 회수액은 62억원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 제기된 금값을 부추길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금은 단순한 귀금속이 아니다. 주식과 달리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국제 정세와 지표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크다. 금값은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지거나 금리가 낮아질 때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지정학적 긴장으로 안전자산에 대해 선호가 높아질 때도 강세 압력을 받는다.

최근 금값 상승은 트럼프 2기 행정부발 관세 리스크가 가장 큰 몫을 차지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매장량이 한정된 금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현재 금 1g당 가격은 15만4100원에 달한다. 이미 지난해 급등했지만 올해도 7주 연속으로 상승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한 돈(3.75g)짜리 돌반지 가격은 60만원을 넘어섰다. 한국거래소의 금 시장 월간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금 거래대금은 약 4678억원이었다.

금의 가치가 이렇게까지 상승할 줄은 누구도 몰랐을 것이다. 결국 일부 시중은행은 금 판매를 중단하기에 이르렀다. 사재기성 매수세로 제한을 두기 위함이다.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에 관한 문제는 전부터 끊임 없이 제기됐지만 중기부는 뚜렷한 대책 없이 허점만 보이고 있다. 특히 전통시장과 골목 상권 활성화를 위한 온누리상품권이 사재기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당초 온누리상품권 발행 취지와 거리가 먼 '꼼수'만 늘고 있다. 

법망을 교묘하게 피한 편법거래로 정작 소상공인들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중기부 역시 이 같은 꼼수 사례를 예상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중기부의 대응 방식이 아쉬울 따름이다. 사후약방문식 대처보다는 이제 예방책을 세우는 게 옳지 않을까. 

물론 온누리상품권이 금값 상승에 영향을 줬다고 단정 짓기는 어려워 보인다. 하지만 추가 조사 결과 구매 과정에서 불법적인 정황이 발견되면 상품권 악용 사례가 없도록 철저한 후속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의 악순환을 이제는 끊어야 할 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