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전력 업계에 따르면 김동철 한전 사장과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최근 비공개 회동을 통해 추가 비용 처리를 협의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결국 해결 방안은 양사 실무진의 협의를 통해 추가로 강구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후 한수원은 10억달러(약1조4000억원)의 추가 공사 대금 정산을 요구했으며 한전은 UEA 측과 협의를 통해 '팀 코리아' 차원에서 추가 비용을 정산받는 것이 우선이라고 답해 평행선을 그리는 상황이다.
한 관계자는 "한전은 한수원에 추가 정산 내역을 검증하자거나, 정산 규모를 조정하자는 식의 제안을 하지 않았고 우선 UAE 측에서 받을 돈이 있으면 먼저 받아야 하나는 주장을 펴고 있어 양측 간 논의가 공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수원은 지난해 1월 발주사인 UAE와 한전 등의 귀책으로 인한 공기 지연 등을 이유로 10억 달러 규모의 추가 비용 정산을 정식으로 요구했다.
이에 한전은 '팀 코리아' 차원에서 UAE에 먼저 추가로 더 들어간 공사비를 받아내고 난 다음에 이를 나눠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전과 한수원이 체결한 OSS 계약에는 양사 간 이견이 클레임 단계에서 조정되지 못하면 런던 국제중재법원(LCIA)에서 법적 해결을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양사는 각각 국제분쟁에 대비해 로펌을 선임했다.
양사의 갈등 원인은 1조4000억원이라는 추가 건설비용이다. 한전은 UAE 측에서 추가 비용 정산을 받지 못한다면 이 금액을 재무제표에 반영해야 한다.
업계에서는 런던중재소로 이 사안을 가져가는 등 강수를 두지 않는 한 UAE 측으로부터 추가 정산을 받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최종 정산 과정에서 추가 정산을 받지 못한 채 한수원에 지급할 비용만 추가되면 누적 매출 이익률이 마이너스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어 한전의 해외 원전 사업에 수익률 관리 문제가 부담이 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