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은 24일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연금 개혁안 단독 처리 가능성을 시사한 데 대해 "정부·여당이 낸 42%, 민주당이 낸 44%에서 어떻게 합의할지 청년 입장을 생각해보며 토론하자"고 제안했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지금 (연금개혁안을) 강행 처리하겠다는 민주당에, 이재명 대표에게 읍소하고 싶다"며 "청년들 눈을 똑바로 쳐다보고 다시 44%로 올리는 안을 왜 그렇게 하는지 설명할 수 있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또 "국민연금 개혁을 한 당이 강행해 혼자 처리하는 것은 동서고금에 없는 일"이라며 "국가 전체의 미래를 위해 너무도 중요하기 때문에 합의를 통해 통과되는 것이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2028년까지 40%로 소득대체율을 줄이겠다고 결정한 것이 노무현 대통령 때"라며 "소득대체율을 다시 거꾸로 올리겠다는 것은 노무현 대통령 때 합의를 뒤집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작년에 (소득대체율을) 42%로 거꾸로 올리는 안을 냈다. 보험료를 올릴 수 있는 길이 야당과 타협을 통해 그것밖에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동욱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소득대체율을) 40%까지 내려야 연금의 지속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인데, 그러면 전혀 협상이 되지 않으니 42%까지는 올리는 것을 고려하겠다고 해 43%안이 논의됐지만, 민주당은 끝까지 44%를 주장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43%에 자동조정장치를 넣자는 것이 우리 당 입장이었지만, 이재명 대표는 정부가 앞으로 일방적으로 깎을 것이기 때문에 자동조정장치를 받을 수 없다고 이야기했다"며 "정부 쪽에서는 '깎는 상황이 생겨도 국회 승인을 받아야 하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얘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주당은 계속 44%(를 주장하면서) 나중에 가선 '그 1%포인트가 뭐 얼마나 중요하다고 그렇게 고집을 부리느냐'고 표현했다"며 "정부 쪽에서 '1%포인트 차이가 굉장히 크다'고 얘기하면서 결렬이 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