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의 허풍과 거짓말이 나라 전체를 뒤흔든 지도 벌써 5개월이 넘었다. 명 씨는 여권의 강력한 대권 주자인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준표 대구시장을 만났다고 주장하며, 심지어 "잔칫날 돼지 잡겠다"는 표현까지 하며 그야말로 '오세훈 죽이기'에 돌입했다. 이는 오 시장과 관련된 불법적인 사실을 공개하겠다는 협박성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명 씨가 실제로 결정적인 증거를 갖고 있다면 이미 검찰에서 진술했을 것이고, 이를 협상 카드로 모두 꺼내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특히 민주당 성향의 언론 매체들이 명 씨의 주장에 대한 정확한 팩트를 제시하지 않은 채 일방적인 보도를 이어가고 있어 이들 보도는 의심 마저 받는 형국이다. 오 시장과 명 씨의 관계는 명확하다. 오 시장은 "명 씨를 두번 만났지만, 믿을 수 없는 사람이어서 그 이후 관계하지 않았다"고 전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둘 간의 만남이 아니라, 이 만남에서 불법 행위가 있었느냐는 점이다. 그렇다면 만남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쪽, 즉 명 씨가 이를 입증해야 한다. 그는 오 시장을 네번이나 만났다고 주장한다.
또한 민주당과 친민주당 매체들은 불법 행위 증거 없이 그저 단순한 접촉 사실을 문제 삼으며 정치적 공세를 펼치고 있다. 명 씨가 불법 사실을 증명하지 못한다면, 이는 제2의 ‘생태탕 의혹’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오 시장 측은 명태균 검찰 수사와 관련한 보도가 계속되자 추가 입장을 발표했다. 오 시장 측에 따르면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명 씨가 13차례 미공표 여론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여론조사의 비용을 오 후보 측 후원자 중 한 명이 오 시장을 위해 대납했는 지가 쟁점이 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보도에 따르면, 명 씨는 2020년 12월 국민의힘 지상욱 전 여의도연구원장을 만나 연구소 자문위원으로 위촉된 이후 여론조사 결과를 공유했고, 당시 김종인 비대위원장에게도 자료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즉, 명 씨의 여론조사는 오세훈 후보 개인이 아닌, 당 차원의 문제였던 것이다.
오 시장 측은 명 씨가 당시 오 후보 측에 여론조사 자료를 제공했다는 주장을 강력히 부인하며, "언제, 누구에게 자료를 제공했는지 증거를 공개하라"고 맞서고 있다. 오 시장 측은 허위 사실을 유포한 언론인들을 이미 고소한 상태다. 그런데 명 씨는 옥중에서 "오 후보를 중국집, 청국장집, 장어집에서 여러 번 만났다"며 식당 이름을 나열하기 시작했다. 이는 본질을 흐리려는 시도로 보인다.
특히 명 씨가 주장하는 13개의 여론조사 결과가 오 후보 캠프가 아닌 여의도연구소와 김종인 위원장 측으로 전달된 정황이 확인되면서, 오 시장이 여론조사 조작에 개입했다는 의혹은 점점 힘을 잃고 있다. 오 시장은 단일화 과정에서도 명 씨의 의견을 따르지 않았고, 명 씨는 "결렬이 상책"이라며 단일화를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는 오 시장 캠프와 명 씨가 애초부터 방향성이 달랐음을 보여준다.
또한,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과 관련해 오 시장의 후원자 김 모씨가 3300만 원을 건낸 사실이 드러났지만, 오 시장 측은 이를 전혀 인지하지 못했고, 김 모씨가 여권과 중앙당을 위한 여론 조사 비용으로 건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금과 관련, 특히 오 시장의 측근들은 "당시 오 시장의 여론 조사는 항상 민주당보다 앞섰기 때문에 돈을 줘가면서 명 씨에게 이런 부탁을 할 이유가 하나도 없었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명 씨와 그의 측근들은 김 모씨를 이용해 정치적 이권을 챙기려 했던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 씨는 불법적 연루 의혹을 피한 채, ‘몇 번 만났다’는 부차적인 문제를 부각시키며 민주당, 그의 변호사, 친민주당 매체를 통해 외부로 오 시장의 악소문을 전달하고 있다. 이는 정치적 의도가 깔린 선동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명 씨는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다 뜻대로 되지 않자, 유력 대선주자인 오 시장의 발목을 잡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오 시장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명 씨와 같은 정치 브로커들의 행태를 근절해야 하며, 검찰의 신속한 수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수차례 강조하는 큰 이유 가운데 하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