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와 시민사회단체들이 ‘시민행복’이라는 공동목표를 정하고 서로 힘을 모으기로 했다.
광주시는 24일 오후 광주실감콘텐츠큐브(GCC) 1층 스튜디오에서 시민사회단체와 토론회를 열었다.
지난 2023년 1월 첫 토론회를 연 뒤 해마다 상, 하반기 두 차례 열었던 터라 이번에는 정해진 주제 없이 자유롭게 대화했다.
토론은 강기정 시장이 ‘광주의 도전과 변화 그리고 광주의 내일’이라는 주제를 낸 데 이어 박미경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상임대표가 ‘12·3 내란 종식과 민주 회복을 위한 광주 시민사회의 노력’이라는 주제를 제시하며 진행됐다.
시민사회단체는 △시민사회 활성화 △지방분권과 마을자치 강화 △성평등 정책 총괄 기능 강화 △대자보 도시를 위한 정책 추진 등에 대한 광주시 실행방안 등을 묻고 대안을 제시했다.
광주시는 △더 따뜻한 민생경제를 위한 시민사회 동참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재정분권 등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시민사회단체는 탄핵 정국 등 위기에서 빛난 시민사회 역량을 키우기 위해 시민사회단체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스스로 시대 변화를 따라잡기 위해 성찰하고 행정적인 공간‧인력‧교육이 뒷받침돼야 시민사회의 역량이 커지고 ‘더 단단한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광주시와 시민사회단체는 12·3 비상계엄 이후 ‘헌법수호 비상계엄 무효선언 연석회의’를 열고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때는 합동분향소 운영 등 상주 역할을 하면서 행정과 시민단체 간 협력의 중요성이 확인됐다고 공감했다.
박미경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대표는 “시민사회 활동이나 행정은 시민 삶 터의 안전 유지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민선 8기 광주시는 어등산 개발, 지하철2호선, 군공항 문제 등 주요 현안을 해결하려는 추진력과 해묵은 현안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의제를 놓치지 않고 긴장감과 집중력 발휘한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며 “따뜻한 배려의 행정을 펼쳐 달라”고 주문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행정과 시민사회는 각자의 역할이 있지만, 숲과 나무를 함께 바라봐야 한다”며 “이러한 역할을 잘 실천하기 위해 행정은 시민사회로, 시민사회는 행정의 방향으로 서로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다가서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시민사회단체 지원에 관해서는 “사회가 급변하면서 시민사회단체도 새로운 디자인이 필요하다”며 “지원 방안에 대해 시민사회단체와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