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사협)은 오는 4월 8일 2025년도 임단협을 위한 첫 상견례를 할 예정이다.
은행권 임금 인상률은 산별노조인 금융노조가 사측 대표기구인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일괄 협상한다. 금융노조는 올해 총액 임금 기준 7.1% 인상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는 금융노조가 지난해 사측에 제시한 8.5% 임금 인상률보다 1.4%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노조는 경제성장률(1.5%)과 소비자물가 상승률(1.9%) 전망치, 최근 3년간 실질임금 감소 폭(3.7%) 등을 고려해 이번 임금 인상률을 결정했다.
금융노조는 2022년을 제외하고 2023년까지 2~3%대 인상률을 제시하다가 지난해 2배 높은 8%대 요구안을 내놨다. 사측은 1.5% 인상안을 제시했고 노사 간 협상을 거쳐 2.8% 인상률에 합의했다. 하지만 이후 개별 사업장인 기업은행과 KB국민은행은 총파업 카드를 꺼내들며 추가 인상에 대한 목소리를 내놓은 바 있다.
금융 노조의 임금 인상률에 대한 따가운 시선도 적지 않다. 올해 탄핵 정국과 소비, 부동산, 정부 지출 둔화 등으로 한국 경제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고액의 희망퇴직금과 연봉에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경제성장률을 크게 웃도는 인상률을 제시했다는 의견이다.
지난해 주요 시중은행 희망퇴직자에 대한 1인당 평균 특별퇴직금은 3억원대를 기록했다.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은 1억1840만원이다. 노조 측 요구대로 올해 인상률이 7.1%로 산정되면 4대 은행 평균 연봉은 단순 계산으로 1억2680만원까지 오르게 된다.
반면 노조 측은 지난해 사측의 사상 최대 이익과 물가 상승률 등에도 기존 요구안인 8.5%에서 2.8%로 낮춰 협상을 타결했다는 입장이다. 올해는 이를 보전하기 위해서라도 7%대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금사협과 금융노조 간 불협화음이 이어지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총파업 기로에 설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금융노조는 지난해 7월 금사협과 산별교섭이 결렬되자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고 같은 해 9월 25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금융노조는 3년 전인 2022년 9월 총파업을 한 차례 진행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