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올해 초 중소기업 36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고환율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최근 환율 급등으로 피해가 발생한 중소기업은 절반이 넘는 51.4%로 집계됐다. 이중 '피해가 발생'했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은 △수입만 하는 기업(82.8%) △수입과 수출을 모두 하는 기업(62.1%) △수출입을 하지 않는 내수기업(48.4%) △수출만 하는 기업(26.2%) 순으로 높았다.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 비용 증가분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의 70.3%가 '1억원 미만'으로 응답했으며 환율 상승 대응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대출만기연장 및 금리인하'가 42.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된 작년 11월부터 1400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강달러의 영향이 가장 크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가 2일(현지시간) 베일을 벗으면 리스크에 약한 중소기업들의 상황은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특히 멕시코와 캐나다에 생산기지가 있거나 25% 관세를 부과하는 철강, 알루미늄 관련 기업은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고환율 리스크에 대한 해답을 납품대금연동제에서 찾았다. 납품단가 연동제는 원재료 가격 변동에 따라 중소기업이 받는 납품대금을 조정하는 제도로 작년 1월부터 시행됐다. 재료 값이 오른다고 해도 중소기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납품대금 연동제 인식 제고와 확산을 위한 설명회, 맞춤형 컨설팅 등의 현장지원을 본격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주요 원재료 확인 등 연동약정 체결 지원사업'을 통해 1000개사를 대상으로 무료 지원을 이어간다.
단 일부 전문가들은 원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공급망을 개편해야 하는 게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중소기업의 부담을 해소시켜 줄 수는 있겠지만 문제는 공급망 시스템에 있다"며 "원자재는 물론 반가공품이나 부품마저도 해외 의존을 하고 있는데 여기에 더해 국정 불안정까지 더해지는 상황에서 제대로 된 정책적 대응을 못한다면 고환율 리스크는 가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