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들어 지방 일부 소도시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강남3구를 제외한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서울 주요 지역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대도시의 미분양 심화로 인해 중소도시에 공급이 사실상 멈추면서 신축 매매 수요로 인해 집값이 움직인 것으로 풀이된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들어 3월 넷째 주(24일 기준)까지 경북 문경시 아파트 매매가격 누적 상승률은 2.83%로 집계됐다.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여파로 급등세를 보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과천시의 뒤를 이어 전국 시군구 가운데 5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인근 경북 상주시(1.91%)와 영주시(1.24%)도 각각 6번째, 8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러한 일부 중소도시들의 가격 상승세는 시장 회복이라기보다는 공급 부족에 따른 결과라는 지적이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문경 ·영주 ·상주의 한 해 평균 적정 공급량은 330~490가구 규모다. 하지만 문경시는 2022년 282가구, 상주시는 2021년 570가구, 영주시는 2023년 160가구를 마지막으로 신규 아파트 입주가 끊긴 상태다.
아파트 거래도 줄어들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문경 ·영주 ·상주시는 올해 1분기 아파트 거래량이 320건으로 전년(442건) 대비 27% 감소했다.
박합수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겸임교수는 "지방은 고분양가와 미분양 문제 등 시장 침체가 심화되면서 주택 공급이 지난 몇 년간 사실상 멈춘 상황"이라며 "이미 일부 도시는 공급절벽에 따른 수급 불균형으로 시장 상황이 악화된 가운데 아파트 가격이 오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급 대책이 미비한 상태로 2년 정도 지나면 미분양 매물이 소진돼 지방 전역에 공급절벽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방에서 PF 부실 우려가 커지는 점도 향후 공급절벽 우려를 키운다. 민간 도시개발 사업 위주로 주택 공급이 이뤄지는 지방 특성상 주요 자금줄인 PF사업의 부실은 착공 물량 감소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PF 부실로 대출 잔액 상환에 문제가 생겨 경·공매를 추진 중인 사업장 385개 중 238개(61%)가 지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방 사업장 중 121곳은 아직 입찰조차 진행되지 않은 상태다.
문경시의 경우 2021~2023년 총 1600여 가구 규모의 아파트 개발 사업 12건에 대해 인허가를 내줬지만 시행사들이 자금 조달에 난항을 겪으면서 현재까지 착공한 사업장은 한 곳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 침체 장기화와 공사비 인상 등으로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무리한 주택 공급 사업은 지양하는 분위기"라며 "특히 미분양 위험이 높은 지방의 경우는 사업성을 확실히 담보할 수 있는 단지만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