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머스 전 美재무 "나 였으면 사임했을 것" 상호관세율 산정법 맹비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황진현 기자
입력 2025-04-04 09: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창조론으로 생물학 설명하는 것과 같아"

  • 美 주요기업 CEO들 "관세 정책 큰 실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한 것을 두고 미국 내에서도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로런스 서머스(70) 전 미국 재무장관은 3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옛 트위터)에 트럼프 정부의 상호 관세율 계산법과 관련해 "보호주의 경제학을 믿는다고 해도 말이 안 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관세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은 채 상호 관세를 도출한 '경제학'을 "창조론으로 생물학을, 점성술로 천문학을 각각 설명하려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내가 속한 행정부에서 진지한 분석에 근거하지 않거나 해로운 정책을 추진했다면, 나는 항의의 뜻으로 사임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빌 클린턴 전 행정부에서 재무장관(1995∼1999년)을,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에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2009∼2011년)을 각각 역임한 경제 전문가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사실상 무역상대국과의 무역적자를 수입액으로 나눈 절반값을 상호관세율로 산정해 논란이 일었다. 미국 재계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브래드 거스트너(52) 알티미터 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CNBC에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너무 지나치다는 걱정을 업계에서 공유하고 있다"면서 "(정책을) 조정하지 않으면 미국 경제에 지속적이면서도 연쇄적인 해를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거스트너 CEO는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한 10명의 CEO와 이야기를 나눴다며 "그들은 모두 관세 정책이 큰 실수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CNBC는 구체적으로 어떤 사람들과 대화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애플, 뱅크오브아메리카, 보잉, 페덱스 등 각 산업 분야 대기업 CEO가 자리했다고 설명했다.
 
거스트너 CEO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전략은 공정한 글로벌 무역을 위한 조치라기보다는 보호무역주의처럼 여겨진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