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현지시간) 더힐과 폴리티코 등에 따르면 연방 상원 재무위원회 소속인 척 그래슬리 의원(공화·아이오와주)과 마리아 캔트웰 의원(민주·워싱턴주)은 무역 정책을 수립·승인하는 의회의 역할을 재확인하는 것을 골자로 한 법안을 제출했다.
'2025 무역검토법'으로 명명된 이 법안은 대통령이 관세를 새로 도입하거나 관세율을 인상할 때 48시간 이내 의원들에게 그 이유와 미국 업계 및 소비자들에 미칠 영향을 설명할 것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의회가 60일 이내에 신규 관세를 승인하는 양원 결의를 채택하지 않으면 새 관세의 효력이 중단되도록 하는 내용과 의회가 관세에 반대하는 결의를 채택하면 관세 부과를 종료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그래슬리 의원은 지난 1일 기자회견에서 "의회는 무역 문제에 관한 통상 조항을 통해 헌법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우리는 그 역할을 다시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법안의 통과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현재 미 의회에서 공화당이 상·하원 모두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내 영향력이 여전히 강력하기 때문이다. 폴리티코는 하원에도 유사한 법안이 제출됐으나 공화당 공동 발의자는 없다고 보도했다.
다만 최근 미국에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심화하는 가운데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에 ‘견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공화당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폴리티코는 사법위원회 위원장이자 재무위원회 소속인 공화당 그래슬리 의원이 이같은 법안을 지지한 것은 공화당이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에 더 불안해하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라고 짚었다.
실제로 민주당 팀 케인 상원의원(버지니아)이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의 철회를 요구하는 취지를 담아 발의한 결의안이 공화당이 다수당(100명 중 53명)인 상원에서 전날 51대 48로 가결되는 이변이 발생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