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리아밸류업지수는 전장 대비 59.63포인트(6.10%) 내린 917.47에 거래됐다. 올해 들어 코리아밸류업지수는 3.71%의 손실을 기록해, 같은 기간 코스피(–3.18%)와 코스닥(–2.20%)보다 저조한 성과를 보였다.
해당 지수는 정부의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의 일환으로 2024년 9월에 도입됐다. 시가총액과 거래대금 등 규모 요건뿐 아니라 수익성, 주주환원, 시장평가, 자본효율성 등을 고려해 편입 종목을 결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준지수가 1000포인트라는 점을 고려하면 발표 이후 하락세가 이어진 셈이다.
국내 증시에서 저PBR(주가순자산비율) 주식의 비중이 오히려 증가한 점이 부진의 배경으로 지목된다. 저PBR주는 국내 증시의 저평가를 해소하기 위한 밸류업 정책의 수혜주로 여겨진다.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는 "밸류업은 단순한 공시 숫자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지배구조 개혁 없이 단기 정책만으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밸류업 본공시를 제출한 기업 중 89.4%가 주주환원 관련 재무지표를 핵심목표로 설정한 반면, 자본효율성(73.4%), 성장성(48.9%), 시장평가(30.9%) 등 장기적 가치 지표를 제시한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수익성과 지속 가능성을 반영한 장기 전략보다는 단기적인 주주환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분석이다.
상장사 지배주주들이 주가 부양에 나설 유인이 크지 않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주주환원을 통한 주가 상승은 오히려 더 높은 양도세와 상속·증여세 부담으로 이어진다"며 "배당에 대한 분리 과세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이를 밸류업 의무화와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모회사와 자회사가 동시에 증시에 상장하는 '중복상장' 문제 역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거론된다. 최근 모 그룹 회장은 "중복상장이 문제라고 생각하면 상장 후 주식을 사지 않으면 된다"고 말해 투자자들의 반발을 샀다.
이정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의 중복상장 비율이 16.7%에 이른다"며 "기업들이 의결권을 분산시켜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복상장을 활용하면서 주주가치 훼손의 요인이 되고 있다. 소액주주 보호장치 마련과 자본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