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6%에 달하는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베트남이 부총리를 급파하고, 미국에 관세 관련 협상을 위해 최소 45일의 시간을 줄 것을 요청하기로 하는 등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8일 베트남 현지 매체 VTV에 따르면 전날 저녁 팜민찐 베트남 총리는 각 부처와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베트남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세 번째로 가진 회의로, 이 자리에서 찐 총리는 미국이 상호 관세 조치의 시행을 최소 45일 연기해 줄 것을 미국에 요청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양측이 더 많은 시간을 갖고 협상할 수 있으며, 신규 관세 적용 과정이 양자 무역에 큰 혼란을 초래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고 했다.
베트남은 또한 지속 가능하고 안정적인 개발 방향에 부합하며, 이익을 조화시키는 장기적인 양자 무역 협정을 조만간 체결하기를 바란다고 찐 총리는 덧붙였다.
베트남은 또한 또럼 당 서기와 트럼프 대통령 간 합의를 통해 이루어진 '대미 관세율 인하' 내용을 주된 방향으로 삼고 있다. 단기적으로 베트남은 미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상품, 즉 안보 및 방위 분야와 관련된 상품 수입을 촉진할 방침이다. 특히 항공 부문에서 주요 상업 계약의 조기 완료도 추진할 방침이다.
찐 총리는 미국이 우려하는 통화 정책, 환율, 금리 등의 문제를 검토하여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이러한 문제들이 베트남 현실에 부합하면서도 양국 무역 관계에 갈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것을 각 부처에 요청했다.
베트남 상공부는 미국의 비관세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와 관련하여, 불필요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규정에 따라 엄격하게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부는 지식재산권, 위조방지, 이해관계자 권리 보호 등에 관한 규정 개정 및 시행 강화를 선도할 계획이다.
이외 찐 총리는 기업 지원을 위해 어업 부문에 대한 우대 신용 패키지를 확대하고, 새로운 세금 정책의 영향을 받는 다른 부문을 고려하도록 지시했다. 동시에 부채 상환 연장, 이자율 인하, 세금 및 토지 임대료 납부 연기 및 연장 조치를 지속적으로 시행할 것이다. 또한 부가가치세를 우선으로 세금 감면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아울러 호득퍽 부총리는 전날 미국으로 떠난 가운데 앞으로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과 관세 관련 논의를 할 계획이다.
앞서 또럼 서기장은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하고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며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7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 출연해 베트남의 관세 철폐 제안에 대해 그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며 "이 모든 문제는 그들이 저지르는 비관세 행위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