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내 '땅 꺼짐' 고위험지역, 50곳 더 있다"... 언급된 동네 보니

사진MBC 보도화면 캡처
[사진=MBC 보도화면 캡처]

서울시가 지난해 각 자치구에 '땅 꺼짐(싱크홀)' 고위험지역 50곳을 의뢰한 사실이 알려졌다. 시는 정부에 보고했지만 불안감 조성을 이유로 구체적인 지역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지난 8일 MBC는 땅 꺼짐 사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보도했다. MBC에 따르면 서울 내 '땅 꺼짐' 신고는 2022년 67건에서 지난해 251건으로 2년 만에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각 자치구에 지반 침하 우려가 큰 '땅 꺼짐' 고위험지역 50곳을 의뢰했다. 정부 보고서에는 광진구가 22곳으로 가장 많고 종로구 9곳, 금천구 7곳, 성동구와 구로구가 3곳, 강남구와 노원구·마포구에서도 2곳이 선정됐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특히 고위험지역 전체 길이는 무려 45km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현상은 낡은 상하수도관에서 물이 새거나 지하 공사 도중 지하수가 유출, 주변 토사가 휩쓸려 주로 빈 공간을 만들면서 발생한다.

 
사진MBC 보도 화면 캡처
[사진=MBC 보도화면 캡처]

강남 압구정동을 관통하는 왕복 8차선 도로도 서울시 지반 침하 고위험지역에 포함됐다. 언주로 6.7km 구간과 선릉로 6.3km 구간은 지반 침하 사고 발생 빈도가 높다는 이유로 선정됐다. 한강을 매립해 만든 저지대일수록 지반이 약해 위험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그동안 침수 피해가 빈번했거나 취약한 곳,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가 진행 중인 도로도 고위험지역으로 꼽혔다.

하지만 서울시는 "자치구에서 자체 파악한 것으로 일부 사유지도 포함돼 있다"며 고위험지역 목록을 공개하지 않았다. 당초 서울시에 고위험지역을 제출한 자치구는 고작 8곳뿐으로 최근 '땅 꺼짐' 현상으로 1명이 숨진 강동구는 아예 한 곳도 선정하지 않았다.

또 서울시는 자치구와 별개로 지난해 시내 181개 도로를 분석, '땅 꺼짐' 위험도를 다섯 등급으로 나눈 지도도 개발했으나 이 또한 "내부 참고용 자료로 불필요한 오해를 조성할 수 있다"며 공개하지 않고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은 "국가와 지자체가 재난이나 사고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책무를 지고, 안전에 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