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광주 기아차 공장 방문…"자동차 산업 R&D 예산 대폭 확대"

  • "美 부품 관세 유예 기간 부담 최소화 위해 노력"

  • "주요 산업 지원 대책 적극 이행하도록 하겠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5일 광주 광산구 광주송정KTX역에 도착해 이동하고 있다 한 총리는 이날 기아 오토랜드 광주공장을 방문해 현장을 시찰했다 사진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5일 광주 광산구 광주송정KTX역에 도착해 이동하고 있다. 한 대행은 이날 기아 오토랜드 광주공장을 방문해 현장을 시찰했다. [사진=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자동차 산업의 R&D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AI(인공지능) 자율 제조 선도 프로젝트 등을 통해 기술 경쟁력 확보를 적극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 대행은 15일 오후 기아 오토랜드 광주공장을 방문해 "최근에 세계 경제를 흔들고 있는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에 의해 전 산업이 영향을 받고 있다. 당연히 우리나라의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인 자동차 산업도 품목 관세에 영향을 받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다행히 부품에 대해서는 5월 2일까지 일단 유예된 상태여서 그 기간 최대한 우리 산업을 유지하면서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한국 등 동맹국과 우선적으로 협상한다고 밝힌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침이 있었기 때문에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협상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지난 8일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통해서 굳건한 한·미 동맹을 위해 조선, 무역 균형, 에너지 등 3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이러한 협력을 기초로 우리 자동차 산업, 부품 산업, 철강·알루미늄 산업 등 높은 관세를 받고 산업의 충격을 조금이라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곳에서 생산되는 차량의 약 35%가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이에 따라 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생각한다"며 "높은 관세에 대한 협상과 이러한 충격으로부터 대비하기 위해서 정부는 지난 9일 자동차를 포함한 주요 산업에 대한 정책, 금융 등 유동성을 지원하고, 내수 진작, 자원 환경 개선 등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이를 적극 이행하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 대행은 이날 기아차 광주공장 방문을 포함해 연일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한 대행은 전날 경제안보전략 TF 회의를 열어 "하루이틀 사이에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와 관련해서 한·미 간에 화상 회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모든 분야에서 한·미가 협상 체계를 갖추고, 빠른 시일 내에 구체적인 내용을 도출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관세 외에 LNG, 조선 협력 강화 등 양쪽의 관심 사항을 고려해 장관급 협의 등 각급에서 협의를 계속하면서 상호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합의점을 찾아 나가도록 하겠다"며 "또 필요한 경우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소통을 통해 해결점을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