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들이 2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신당 창당을 추진하다 보류한 탄핵 심판 사건 변호인들을 만난 것을 두고 우려했다.
이는 윤 전 대통령의 '사저 정치'로 비칠 수 있는 모습이 반복되면서 대선 판도를 좌우할 중도층 표심에 악영향을 줄 수 있고, 자칫 보수 진영도 분열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다.
한동훈 국민의힘 후보는 이날 YTN 라디오에서 윤 전 대통령과 변호사들의 회동에 대해 "국민의힘 그리고 보수를 지지하는 많은 국민이 가지고 계신 애국심을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나경원 국민의힘 후보도 CBS 라디오에서 신당 창당에 대해 "적절치 않다"며 "대선 과정에서 '윤심(尹心) 팔이'를 하는 것도 별로 안 좋은 것 같다"고 꼬집었다.
안철수 국민의힘 후보 역시 YTN 라디오에서 "(윤 전 대통령의 신당 창당은) 대다수 국민들 눈높이에도 별로 맞지도 않고 호응도 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에 창당이 된다고 하더라도 그건 (윤 전 대통령이) 대선에 개입한다는 뜻"이라며 "그렇게 되면 오히려 보수가 분열돼서 확실하게 패배하고 국민들 공감을 얻을 수 없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유정복 국민의힘 후보도 BBS 라디오에서 이른바 '윤석열 신당' 출현 가능성에 대해 "쉽지 않아 보인다"며 "아직도 윤 전 대통령을 붙들고 있는 이 모습은 정말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덧붙여 "윤 전 대통령께서 정말 나라와 당을 생각하는 분이라면 이제 더 이상 당에 부담되지 않도록 스스로가 결단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촉구했다.
홍준표 국민의힘 후보 역시 채널A 유튜브 채널에서 '신당 창당에 윤 전 대통령 의중이 담겼다'는 일각의 추측과 관련해 "몽상이자 낭설"이라며 "파탄으로 가는 길"이라고 비난했다.
홍 후보는 "용산으로부터 (윤 전 대통령의 신당 창당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걱정 안 하셔도 된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이 선거는 홍준표 대선이지 윤석열 대선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대선 후보들만이 아닌 당 지도부에서도 이런 상황에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이양수 사무총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지난주 신당 창당 논란에 이어, 주말에는 보수단체 대표의 대선 출마 선언이 있었다"며 "이러한 적전 분열은 12개 범죄 혐의로 5개 재판을 받는 전과 4범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도록 도와주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총장은 "각자 생각은 다를 수 있지만 지금은 보수의 힘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며 "여기에 더해 중도층의 마음까지 얻어야만 이길 수 있는, 결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윤재옥 당 대선준비위원장은 국회에서 준비위원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신당 창당설' 관련 논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지난번에도 신당 창당이 국민의 눈높이나 시각에 맞지 않다는 걱정이 있었다"며 "이미 신당 창당 자체가 보류됐기 때문에 다시 그 문제를 거론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런 식의 신당이 우리 당에 도움 되지 않을 거라는 건 모두가 알고 있을 테고, 윤 전 대통령도 그런 부분은 인식하고 있지 않을까"라며 "민주당에서 '(신당 창당은) 윤 전 대통령 의중'이라고 연결해 우리를 분열시키려고 하는 데 휘말릴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상욱 의원은 국회에서 별도의 기자회견을 열고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즉시 제명과 한덕수 국무총리와 추후 야합이 없다는 약속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이후 김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이번 대선은 윤 전 대통령의 12·3 계엄 때문에 생긴 것이고, (계엄에) 책임 있는 윤 전 대통령을 제명하는 것은 가장 먼저 했어야 할 일"이라며 "마치 우리 당에서 경선을 통과한 후보와 단일화하는 것을 전제로 한 총리의 대통령 출마를 이야기하는 것은 원칙을 지키지 않는 모습이자 야합"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