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5년 4월 22일자)

이달 중순까지 우리나라의 대 미국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자릿수 감소했다. 트럼프 미 행정부발 관세전쟁의 영향이 본격화된 탓이다. 한국산 중간재를 수입해 미국 등에 완제품으로 수출하는 중국, 베트남도 관세 전쟁 영향권에 들면서 우리 경제 핵심 축을 담당하고 있는 수출이 하강 국면에 진입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액은 61억82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4.3% 줄었다. 올 들어 매월 1~20일 대미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조업일수가 하루 적었던 1월(-9.6%)을 제외하고 2~3월 모두 증가세를 유지했다. 

관세청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무분별한 관세 부과 영향으로 수출이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이달 초 미국은 우리나라에 상호관세율 25% 적용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면서 현재 일부 품목에 기본 관세 10%가 적용된 상태다.

수출 비중 20%를 차지하고 있는 대미 수출이 급감하면서 전체 수출도 감소세를 나타냈다. 이달 1~20일 전체 수출액은 338억7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2% 감소했다. 통상 월말로 갈수록 수출이 늘어나긴 하지만 미국발 관세조치 영향으로 반등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수출이 줄면서 우리나라의 무역 흑자 기조도 흔들리고 있다. 이달 1∼20일 수입액은 340억 달러로 1년 전보다 11.8%로 줄었지만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면서 1억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2023년 6월부터 19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다 올 1월 일시적으로 적자로 전환된 바 있으나 2월부터 다시 흑자 기조를 이어가는 중이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우리보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벨기에, 네덜란드 등의 경우 유럽이라는 공동 시장이 완충제 역할을 하고 있지만 한국은 이번 관세 조치로 미국과의 FTA가 완전히 무력화되면서 큰 그림에서의 통상 전략을 재점검해야 할 때"라면서 "산업 정책 측면에서 정부가 핵심 부품, 소재, 장비 등에 과감하게 인센티브를 제공해서 발전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주경제 1면
아주경제 1면
 
아주경제 2면
아주경제 2면
 
아주경제 3면
아주경제 3면
 
아주경제 22면
아주경제 22면
 
아주경제 23면
아주경제 23면
 
조선일보 1면
조선일보 1면
 
중앙일보 1면
중앙일보 1면
 
동아일보 1면
동아일보 1면
 
매일경제 1면
매일경제 1면
 
한국경제 1면
한국경제 1면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5년 4월 22일자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2025년 4월 22일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