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군이 정찰위성 4호기 발사에 성공했다. 정찰위성 1~3호기에 이어 4호기 발사도 성공함에 따라 대북 감시망이 더욱 강화됐다.
정찰위성 4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Ⅹ의 발사체 ‘팰컨9’이 22일 오전 9시 48분(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군 정찰위성 4호기는 발사 약 15분 후 팰컨9 발사체에서 정상적으로 분리돼 목표궤도에 안착했으며, 약 56분 뒤에는 지상국과의 교신에도 성공해 위성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했다.
군 정찰위성 4호기는 앞으로 국방과학연구소(이하 국과연) 주관위성의 성능을 확인하는 우주궤도시험을 하고, 군 주관으로 진행하는 운용시험평가를 거쳐 본격적으로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425 사업은 전자광학·적외선(EO·IR) 위성 1기(1호기)와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4기(2∼5호기) 등 정찰위성 총 5기를 배치하는 사업이다. SAR의 발음 ‘사’와 EO의 발음 ‘이오’를 합쳐 425(사이오)라는 이름이 붙었다.
우리 군의 정찰위성 1호기는 2023년 12월 2일 발사됐고, 작년 8월부터 정상적으로 임무를 수행 중이다. 2호기와 3호기는 각각 작년 4월 8일, 12월 21일에 발사됐고 현재 전력화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번에 발사된 정찰위성 4호기는 2·3호기와 마찬가지로 합성개구레이더(SAR)를 탑재하고 있다.
SAR은 전자파를 지상 목표물에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 데이터를 합성해 영상을 만드는 방식이어서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하다.
국방부와 방사청은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으로 우리 군은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을 추가 확보했으며, 한국형 3축 체계의 기반이 되는 핵심전력의 증강으로 킬체인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특히 우리 군은 지난번 성공적으로 발사한 1~3호기와 함께 감시정찰위성의 군집운용을 통해 재방문주기를 단축해 북한의 도발징후를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게 됐다.
발사관리단장인 석종건 방사청장은 “이번에 발사 성공한 4호기에 이어 올해까지 군 정찰위성을 모두 발사할 예정이다”라며 “향후 현재 개발 중인 초소형 위성까지 발사하게 되면 우리 군은 독자적인 우주전력을 구축하여 국방우주 강군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