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싱크홀 사고에... 서울시, '지하안전과' 신설·노후 수도관 관리 예산 2배↑

  • '지하공간 관리 혁신안' 추진.. 오 시장, 영동대로 복합개발 현장 점검

  • GPR 탐사 서울 전역 확대...신기술 '지반침하 관측망' 도입

  • '지반특성을 반영한 지도' 올해 말 공개...연구 중

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 지하 암반 굴착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 지하 암반 굴착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서울 곳곳에서 싱크홀(땅꺼짐)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서울시가 전담과를 신설하고 내년 노후 상하수도관 관리 예산을 4000억원으로 두 배 증액한다.

서울시는 23일 이러한 내용 등을 담은 '지하공간 관리 혁신안'을 발표했다. 혁신안은 △지하공간 안전관리 투자 확대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확대 △정보 공개 △노후 하수관로 보수 예산 2배로 증액 △전담조직 신설 등을 골자로 한다.

시는 우선 GPR 탐사를 서울 전역 도로로 확대한다. 특히 철도 공사장 등 대규모 지하 굴착공사장에 대한 GPR 탐사는 매달 실시하고 결과를 공개한다. 15억원을 투입해 현재 4대인 차량형 GPR를 3대 추가 도입해 7대로 늘리기로 했다. 도로의 조사범위는 현재 30%에서 60%로 늘리고 각 자치구가 선정한 우선점검지역부터 실시한다.

지하 2m까지만 탐사 가능한 GPR장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반침하 관측망’을 오는 5월부터 설치·운영한다. 이는 지반 내 관측 센서를 설치해 지하 약 20m까지 지층 변동을 계측할 수 있는 기술이다. 강동구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 현장에 인접한 지하철 9호선 4단계 1공구 현장에 우선 설치할 예정이다.

주민 불안감을 달래기 위해 관련 정보도 투명하게 공개한다. 현재 서울 시내 철도 공사장 5곳(49.3㎞)과 자치구 선정 50곳(45㎞ 구간) 등 GPR 특별점검 결과를 우선 공개한다.

또 기존 우선정비구역도를 고도화해 지반특성을 반영한 지도를 올해 말께 공개할 예정이다. 제작된 지도는 전문가 자문회의와 시민 의견수렴, 법률과 공익성 등에 대한 검토를 거쳐 공개할 예정이다. 시는 앞서 부동산 가격 및 지역민 반발을 우려해 싱크홀 위험도를 파악한 지도를 공개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샀다. 시는 이에 대해 "여러 지하 공사가 진행되면서 얽혀 있는 지하 매설물, 전력선, 통신선, 지하수 흐름 등을 완벽히 파악한 현장 자료는 아직 없었다"고 해명했다.

시는 지하안전과를 신설해 전담조직 규모를 확대한다. 현재 2개팀(9명)으로 운영되던 조직을 30여 명 규모의 과 단위로 격상한다. 이를 통해 공동조사 주기를 5년에서 1년으로 대폭 단축한다. 지하 10m 이상 굴착 및 터널굴착공사장 특별점검 주기도 연 1회에서 월 1회로 줄일 계획이다. 민간 전문인력도 대폭 영입해 공동탐사와 분석 역량도 보강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 건설 공사장을 방문해 지하 암반 굴착 현장을 살피고 GPR 조사 결과를 점검했다. 오 시장은 "그간 노후 상하수도관 누수가 싱크홀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으나 최근 대형 사고는 대형 굴착공사장 인근에서 발생했다"며 "이 두 가지를 다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