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양천구 신월동의 신월시영 아파트가 3149가구 대단지 아파트로 탈바꿈한다.
시는 28일 제3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수권분과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신월시영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 경관심의안을 수정가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정비계획 결정을 통해 건폐율 60% 이하, 용적률 250% 이하, 최고 21층 규모로 공동주택 3149가구(공공주택 196가구 포함) 및 부대복리시설을 재건축하게 된다.
계획안에 따르면 기존 단지 중앙에 위치한 신월근린공원을 북측으로 이전 재배치해서 지양산, 한울공원, 독서공원, 오솔길공원의 산책로가 연결되는 총 2.3㎞ 길이의 '양천초록길'이 완성된다.

강남구 개포우성4차아파트는 최고 49층에 1080가구 대단지로 변모한다. 전날 회의에서 개포우성4차아파트 개포택지개발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안과 재건축 정비계획 결정(변경) 및 경관심의안도 수정가결되면서다.
개포우성4차아파트는 1985년 준공된 노후 아파트로 양재천과 매봉역 사이에 위치하며 총 9개 동, 459가구 규모다. 이번 정비계획 변경 결정을 통해 최고 49층, 1080가구(공공주택 128가구 포함)의 공동주택 단지가 들어선다.
양재천변 인근의 랜드마크인 타워팰리스와 어울리는 주동 높이계획을 통해 리듬감 있는 스카이라인을 구성하고 주변 단지와 연속성을 갖는 통경축을 확보했다. 구역 동·서측에 각각 가로공원과 연결녹지를 계획해서 인근 근린공원 및 양재천으로 이어지는 보행·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했다.

천호동 214-19번지 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도 전날 회의에서 수정가결되면서 일대에 11개 동, 지상 23층, 지하 2층, 총 643가구 주거단지가 들어선다.
대상지 일대는 천일초등학교·고분다리 전통시장과 인접해 있고 노후 저층 단독·다세대주택이 밀집해 있는 대표적 서민 주거지역이다. 당초 지지부진한 재개발사업 추진 중 신속통합기획으로 전환, 지난해 1월 신속통합기획 가이드라인 마련을 통해 정비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했다.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 따른 허용용적률 인센티브를 적용해 기존 200%에서 220.80%로 사업성이 크게 개선됐다.

전날 회의에서는 서초구 방배임광3차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이 수정가결됐다. 이에 따라 용적률 300% 이하, 최고 29층 이하로 공동주택 379가구(공공주택 47가구) 및 부대복리시설을 재건축하게 된다.
대상지는 2호선 방배역 인근에 위치하고 우면산, 매봉재산, 방배근린공원이 감싸고 있다.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자문을 통해 금번 정비계획(안)이 심의를 통과했다.
마장동 382번지 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도 전날회의에서 수정가결됐다. 지상 24층 전체 6개동, 총 262가구(공공임대주택 40가구 포함)로 계획됐다.
대상지 일대는 한양대 북측 구릉지형에 위치하고 건축물의 노후도가 97%에 달하는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주거지역이다. 표고 35m 차이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형 단차를 극복한 데크 조성 등으로 쾌적하고 지형에 순응한 주거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2021년 12월 신속통합기획 후보지 선정 후 2023년 7월 신속통합기획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이를 반영한 정비계획을 수립했다.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반영에 따라 사업성 보정계수를 적용해 허용용적률이 기존 200%에서 238.40%까지 완화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