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대형 온라인 유통업체 테무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지난 주말부터 제품에 약 145% '수입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미국 방송 CNBC은 28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하며 이번 조치로 인해 18.47달러(약 2만6450원)짜리 여름 원피스 구입 비용은 수입 수수료 26.21달러가 추가돼 44.68달러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12.44달러짜리 아동용 수영복은 수입 수수료 18.68달러가 붙어 31.12달러가 되고, 16.93달러짜리 휴대용 진공청소기는 21.68달러의 수입 수수료를 고려하면 40.11달러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테무는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품목에는 수입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다"며 "수입 수수료는 구매자를 대신해 (미국) 세관 당국에 지불하는 '수입 수수료'를 포함한 모든 세관 관련 절차와 비용이 포함된다"고 공지했다. 다만, "표시된 금액은 실제 세관 당국에 지불하는 금액과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경쟁업체인 쉬인도 지난 주말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확인됐다. CNBC는 테무처럼 '수입 수수료'를 부과한 방식은 아닌 것 같다고 설명했다.
쉬인은 공식 홈페이지에 "결제 금액에는 관세가 포함된다"며 "배송 시 추가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는 배너를 추가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쉬인은 지난 주말을 전후해 의류에서 주방용품에 이르기까지 미국에서 판매하는 상품 대부분의 가격을 크게 인상했다.
미용 및 건강용품 상위 100개 제품의 평균 가격이 전날 대비 51% 인상됐고 일부 품목은 두 배 이상으로 올랐다. 가정용품과 주방용품, 장난감은 평균 30% 이상 올랐다. 그중 키친타월 10개짜리 세트 가격은 1.28달러에서 6.10달러로 377% 상승했다. 여성 의류의 경우 8% 상승했다.
테무와 쉬인의 가격 인상은 트럼프 행정부가 800달러 미만 수입품에 관세를 면제해주던 '소액 면세 제도'(de minimis)를 다음 달 2일부터 폐지하고 12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이후 이뤄졌다.
앞서 이달 초 소액 면세 제도 폐지가 발표되자 테무와 쉬인은 미국 고객들에게 고지를 통해 "오는 25일부터 가격을 조정할 예정으로 현 가격에 구매를 권장한다"고 알렸다.
블룸버그는 이를 두고 "무역 전쟁이 미국 소비자에게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미리 보여주는 신호"라고 짚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