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불확실한 대외 경제 상황과 다가오는 6.3 대선 관리 등 책임이 막중해졌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일부터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됐다.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난 1일을 끝으로 물러났고,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탄핵안 발의 후 사임 의사를 밝혀 면직 처리됐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당황한 기색을 보였다. 교육부 관계자는 "최 전 부총리가 대행을 맡았을 당시 관련 업무를 기재부가 모두 맡은 것으로 알고 있다. 교육부는 기재부에 비해 본부 조직이 크지 않고, 전체 부서를 총괄해 본 경험이 없어 권한대행 업무를 뒷받침할 역량이 될지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이 권한대행은 2일 자정 전 부처와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안보, 외교, 치안, 선거관리, 경제 등에 대한 긴급 지시를 했다. 그는 "국정 공백이나 혼란 없이 국가 운영을 안정적으로 이어 나가기 위해 정부가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전했다.
특히 이 권한대행은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에게 "군의 경계와 대비를 철저히 하고, 모든 도발 가능성에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 태세를 최고 수준으로 올려달라"고 말했고, 합참의장에겐 "작전 지휘 체계를 확고히 하고, 유사시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모든 군부대의 대비 태세를 점검·강화하라"고 강조했다. 이 외에도 이 권한대행은 외교부 장관, 행안부 장관 직무 대행,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등에게 당부의 메시지를 내놓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