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는 1일 국회 본회의에서 3865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이 확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이는 2025년도 본예산(4조1838억원)의 9.2% 수준이다.
금융위는 이번 추경예산을 바탕으로 통상 리스크 대응과 민생경제 회복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우선 미국 상호관세 부과 등 대외환경 변화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총 4조원 규모의 저리자금을 지원하는 관세대응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추경예산 1000억원을 반영해 관세피해업종 전반에 대한 저리 운영자금 3조원과 반도체 외 첨단산업 설비투자에 대한 1조원 규모의 저리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설비 투자 지원에도 나선다. 추경예산 2000억원을 보강해 총 2조4000억원을 추가 지원함으로써 프로그램 지원규모는 3년간 총 17조원에서 20조원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관세부과 등으로 경영악화가 우려되는 주력산업에 충분한 유동성을 공급하고, 재무건전성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구조혁신펀드'도 신규로 조성할 계획이다. 추경으로 편성된 500억원 출자를 통해 최소 5000억원 이상의 신규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위기대응 특례보증을 통해 관세피해, 내수침체 등 대내·외 환경변화로 유동성이 부족한 기업들에 대한 신속한 자금 지원에도 나선다. 신용보증기금에 1000억원을 출연해 일반 보증프로그램보다 낮은 보증료율로 총 3조3000억원의 특례보증 대출을 신규로 공급한다.
민생경기 회복 지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 서민계층에 대해서는 최저신용자 한시 특례보증 사업 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재정 365억원을 보강해 올해 보증 공급규모를 1700억원에서 2800억원 규모로 확대 지원할 방침이다.
저소득 대학생·청년을 위한 '햇살론 유스'에는 복권기금 보증재원을 150억원 증액해 올해 공급규모를 20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급격한 통상환경 변화와 민생경제 회복 지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기업들과 서민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 추경을 통해 배정된 예산을 최대한 신속히 집행하는 한편, 관련된 정책적 노력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