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3일 당 최종 경선 문턱에서 고배를 마셨다. 경선 토론회를 거치며 지지율이 상승세를 탔던 한 후보가 김문수 후보에 패한 데에는 한덕수 전 총리와의 단일화 변수가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며 한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저지하고,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찬탄파'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경선에선 '정치·세대·시대교체'를 앞세우며 변화를 기대하는 이들의 표심을 자극하기도 했다.
한 후보는 '임기 단축 개헌' 등을 통해 정치와 세대, 시대를 모두 재편하겠다는 구상을 내놓으며 경쟁력을 부각해 왔다. 특히 계엄 사태의 장본인인 윤 전 대통령과 사법리스크 논란을 안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모두 정치판에서 퇴장시키겠다고 강조했다.
한 후보가 결선 진출까지 성공하자 당내 일각에선 한 후보의 탄탄한 '팬덤'뿐 아니라 '변화'를 바라는 당심 역시 움직인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다만 한 전 총리가 대선 출마를 공식화함에 따라 경선 내내 단일화 논의에 적극적이었던 김 후보에 표심이 옮겨간 것으로 풀이된다.
한 후보는 그간 단일화와 관련해선 '당 후보 중심'을 고수해 왔다. 한 전 총리와 단일화를 원하는 지지층이 한 후보의 소극적인 태도를 인지하고 김 후보에게 표를 몰아줬다는 해석이다.
한편으론 윤 전 대통령과 끊임없이 충돌해 온 한 후보의 기존 행보가 결국 '배신자 프레임'으로 발목을 잡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비상대책위원장과 당 대표 시절 윤 전 대통령과 갈등을 빚고, 계엄과 탄핵까지 이어지며 한 후보에 대한 당원들의 '불편한 감정'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한 후보가 강조해온 '본선 경쟁력'이 사실상 '압도적'이지 않았다는 대목도 패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가상 양자 대결에서 한 후보의 지지율이 보수 진영 주요 경쟁자들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