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1분기 영업익 7억원…전년 比 94.3%↓

  • 적자 폭 확대…1분기 당기순손실 821억원

  • 음악 사업 부문, 유일하게 두자릿 수 성장

사진CJ ENM
[사진=CJ ENM]

CJ ENM이 지난해 1분기 대비 적자 폭이 크게 늘었다. 

CJ ENM이 2025년 1분기 매출 1조 1383억원, 영업이익 7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 94.3% 감소했다. 당기순손실은 지난해 1분기보다 347억 8600만원 늘은 821억6900만원을 보였다. 

엔터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한 7760억원, 영업손실 255억원을 기록했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2% 성장한 3623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한 262억원을 실현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한 2928억원, 영업손실 57억원을 기록했다. CJ ENM 측은 "뉴스 프로그램 시청 집중 영향으로 TV 광고 시장 위축 탓"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티빙의 광고요금제(AVOD) 가입자 비중은 39.2%로 확대되며 광고 매출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다. 

스크립트 콘텐츠(영화드라마)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8% 줄어든 3139억원, 영업손실 232억원을 기록했다. 

음악 부문은 유일하게 두자릿수로 성장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9% 늘어난 1672억원을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3.9% 감소한 27억원을 보였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2% 성장한 3623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한 262억원을 실현했다. 

CJ ENM은 2분기 △시청률 강화 기반 TV광고 회복 및 티빙 트래픽 확대 △콘텐츠 글로벌 판매 강화 및 피프스시즌 딜리버리 가속화 △글로벌 아티스트 활동 본격화 따른 해외 매출 강화 △콘텐츠 커머스 큐레이션 확대를 통해 수익성 개선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목표다. 

CJ ENM 관계자는 "음악 레이블 매출과 라이브 커머스 거래액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고 2분기 들어 다수 앵커IP가 시청률과 화제성을 장악하고 있다"며 "웰메이드 콘텐츠로 플랫폼 경쟁력을 극대화하고 글로벌 아티스트 역량을 고도화해 수익성 회복에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