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TA "여행산업, 차기 정부 핵심 전략산업으로 육성해야"

사진한국여행업협회
[사진=한국여행업협회]

한국여행업협회(회장 이진석, 이하 KATA)rk 대선후보 정책공약에 여행산업 발전방안을 반영해달라는 요청서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각 당 대선후보 캠프에 전달했다고 20일 밝혔다.

KATA 측은 “여행산업은 외화획득과 국민경제에 큰 기여를 하는 전략산업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홀대받아 왔다”며, “차기 정부는 여행산업을 국가 핵심전략산업으로 인식하고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ATA는 현재 여행업계가 △디지털 전환 지연 △글로벌 OTA의 시장 잠식 △불공정한 거래 환경 △외부 변수에 취약한 산업 구조 등 복합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중소업체 중심의 산업 구조로 인해 자체 대응이 어렵다며, 차기 정부에 다음과 같은 6대 과제 이행을 요청했다.

△관광비서관 직제 부활 및 관광담당 차관 임명 △국가관광전략회의 위상 제고 △여행업 관련 법제 정비를 통한 경쟁력 강화 △여행·관광산업에 대한 수출산업·제조업 수준의 지원 확대 △외래관광객 3000만명 유치를 위한 관광수출지원단 운영 △위기 상황 대응을 위한 재해보상기금 조성 등이다.

세부적으로는, 국가 관광정책을 총괄할 컨트롤타워 부재를 지적하며 “K-컬처와 K-콘텐츠의 세계적 확산을 관광산업 성장으로 연결하려면 국가적 역량을 총결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관광비서관 직제의 부활과 관광담당 차관 임명, 국가관광전략회의의 대통령 주재 회의 격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자본금 인하 등으로 진입장벽이 낮아지며 여행업체 수는 증가했지만, 과열 경쟁과 업무 역량 저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여행업 등록요건을 강화해 여행업 생태계를 보호하고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여행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국외여행인솔자 등 관광종사원의 보수 교육 의무화도 강조했다. 특수언어권 가이드 자격 의무를 권고 수준으로 완화하는 등 외래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광산업의 외화획득 기능을 고려해 금융 및 세제 혜택을 수출산업·제조업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고, 관광수출지원단 운영을 통해 방한 외래관광객 3000만명 유치를 실현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KATA는 “K-컬처의 확산과 방한 목적의 다양화로 기업체 및 공공기관 방문 수요가 늘고 있지만, 목적에 맞는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원스톱 지원이 가능한 조직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또한 여행업이 각종 재난과 질병 등 외부 변수에 취약한 만큼, 위기 상황 발생 시 업계 생태계 유지를 위한 재해보상기금 조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진석 회장은 “외래관광객 유치 잠재력이 커지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관광수출 확대와 여행산업 생태계 회복, 여행시장 활성화, 경쟁력 강화, 방한 관광객 3000만명 유치를 위한 골든타임”이라며 “차기 정부는 여행산업을 국가 핵심 전략산업으로 인식하고, 전폭적인 지원과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