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AI 기능 강화에 총력…검색부터 스마트안경까지

  • 검색에 구글 AI 역량 총집결…완전히 새로운 검색 'AI 모드' 선보여

  • 삼선전자와 'XR 스마트 안경' 개발 협력…이용자와 실시간 소통 가능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IO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구글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I/O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구글]

생성형 인공지능(AI) 경쟁이 한창인 가운데 구글이 '검색 지능 시대'를 선언했다. 인터넷 상의 각종 '정보'를 최적화해 검색해주던 구글의 본업에 AI를 더해 정보를 지식, 더 나아가 지능으로 확장하는 미래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구글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I/O 2025'에서 생성형 AI를 적용한 새로운 검색 기능을 포함한 각종 AI 기능을 공개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기조연설을 통해 "우리에게 검색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면서 "완전히 새로운 검색의 기능인 AI모드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정보에서 지능으로 나아가는 검색의 미래"라고 강조했다. 

AI모드는 검색은 물론, 분석·요약·결과까지 AI가 처리해준다. 지난해 도입한 AI 요약기능 'AI 오버뷰'에서 대폭 확대된 것으로, 구글의 AI 역량을 총집결시켰다. 기존의 텍스트 입력 외에 음성과 영상 등 멀티 모달 기능이 결합된 것이 특징이다. 

AI 모드에 구글의 AI 역량을 총집결했다. 기존의 검색어 입력 뿐 아니라, 문장입력과 후속질문 등 AI 챗봇과 대화하듯이 검색이 가능해졌다. 이용자가 궁금한 내용을 카메라로 보여주면 AI가 이를 보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음성으로 설명해준다. 여기에는 스마트폰 카메라 기반의 실시간 검색 기능인 '서치 라이브'가 적용됐다. 종합적인 보고서나 출처를 명시한 심층적인 답변을 제공하는 '딥서치' 기능도 접목됐다. 이번주부터 최신 AI 모델 제미나이 2.5가 구글 검색에 도입된다. 

지난해 공개한 '프로젝트 마리너'도 AI 모드에 적용된다. 프로젝트 마리너는 티켓 예매와 레스토랑 예약, 서비스 신청 등 일련의 과정을 AI가 알아서 해주는 에이전트 기능이다. 일례로 이용자는 수작업 없이 AI가 특정 스포츠 경기의 원하는 가격대나 좌석위치를 특정한 표를 찾아준다. 이용자가 '결제' 버튼을 누르면, AI를 통한 표 구매까지 가능하다. 

이와 함께 구글은 삼성전자와 개발 중인  확장현실(XR) 기반의 스마트 안경 시제품을 공개했다. 구글이 스마트 안경 개발에 나서는 것은 2013년 선보인 '구글 글라스' 이후 10년 만이다. 

이 스마트 안경은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가 장착되고 휴대전화와 함께 연동돼 주머니에 손을 댈 필요 없이 전화를 받거나 문자를 보내고 앱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안경을 낀 눈 앞에 구글 지도를 표시해 스마트폰을 확인하지 않고도 길을 찾을 수 있고, 외국인과 대화할 땐 실시간 번역을 한 말풍선이 표시된다. 안경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AI가 주변 환경을 이해하고, 녹화 중 지나친 사물을 기억해 이용자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여기에는 프로젝트 아스트라 비전의 전 단계인 '제미나이 라이브'가 탑재됐다. 프로젝트 아스트라는 AI가 사람처럼 보고 들을 수 있고, 음성으로 대화하면서 이용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범용인공지능(AGI)이다. 제미나이 라이브는 AI가 카메라를 통해 상황을 인식하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능이다. 구글은 이날 앱을 통해 '제미나이 라이브'를 출시했고, 올해 아스트라 구현을 위한 추가 기능도 공개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