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3월 서울의 연립·다세대주택 매매 실거래가격지수는 전월보다 2.05% 오르며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022년 6월(2.30%)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이다.
서울 빌라 실거래가격은 2020년부터 2년 연속 10%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2022년부터 전세사기 문제가 불거지면서 2.22% 하락했고, 2023년에는 0.85% 소폭 오르며 큰 회복세를 보이지 못했다.
전세사기 문제가 잦아든 지난해에는 실거래가격이 3.44% 상승했다. 올해는 3월까지 누적 상승률이 3.58%로 작년 연간 상승률을 넘어섰다.
시장 분위기를 가늠해볼 수 있는 거래량도 회복세다.
지난 3월 서울 연립·다세대주택 거래량은 3024건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 2304건과 비교하면 1년 만에 31.3% 증가한 수치다. 서울 빌라 거래량이 월간 3000건을 넘어선 것은 2022년 7월 이후 2년 9개월 만에 처음이다. 4월 서울 빌라 매매수급 동향도 99.4를 기록하며 수요 우위(100 이상)에 가까워진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서울 아파트값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가격에 부담을 느낀 수요자들이 빌라 시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시장 침체가 장기간 이어지고 있고, 투자 수요가 여전히 낮은 만큼 향후 가격 상승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김은선 직방 데이터랩장은 "낮은 가격에 매력을 느낀 실수요자들이 시장에 진입하면서 가격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투자 수요가 더해지지 않으면 가격은 횡보 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