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 비중 확대 삼성전기, 카메라價↑ … '中 경쟁' LG이노텍은 하락

  • 삼성 카메라모듈 ASP 21% 급증

  • 중국향 2억 화소 모듈 개발 이어가

  • LG, 경쟁사 참전에 수익성 '빨간불'

  • 공장 이원화 등 수익성 제고 드라이브

샤오미 15 울트라 사진샤오미
샤오미 15 울트라 [사진=샤오미]
국내 대표 카메라모듈 업체인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이 중국 영향으로 제품 단가에서 희비를 보였다. 중국 고객사에 고부가 제품 공급 비중이 확대된 삼성전기는 평균판매가격(ASP)이 상승한 반면, LG이노텍은 중국 경쟁사 참전으로 수익성 악화가 심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기의 지난 1분기 카메라모듈 ASP는 전년 동기 대비 21.2% 상승했다.

삼성전기는 계열사 삼성전자와 중화권 기업들을 중심으로 카메라모듈을 공급 중이다. 2억 화소 카메라모듈, 고화질 폴디드줌 등 고성능 제품이 본격 양산되면서 ASP도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중국 기업들의 2억 화소 채택 비중이 늘어난 것이 주효했다. 삼성전기는 지난해부터 중화향 2억 화소 초접사 모듈과 다기능 모듈 등의 개발을 꾸준히 이어가며 매출처 확대에 나서고 있다. 전략 거래선인 삼성전자도 이달 출시한 첫 초슬림폰 '갤럭시 S25 엣지'에 2억 화소 광각 카메라를 채택했다.

원재료 상승도 ASP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기의 센서 IC는 삼성전자와 소니로부터 공급받고 있으며, 광학솔루션부문 원자재에서 54.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분기 카메라모듈용 센서 IC의 평균매입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17.6% 상승했다.

삼성전기 측은 "고객사들이 스마트폰 차별화를 위해 망원 카메라 성능 강화, 소형화 등 카메라모듈의 고사양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에 렌즈 및 액추에이터 설계·제조역량 기반의 요소 기술 강화로 고화질, 슬림, 폴디드줌 성능 향상 등 고객 요구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LG이노텍은 1분기 카메라모듈 ASP가 전년 동기 대비 11.3% 하락했다. 사실상 독점 공급하던 애플의 아이폰 공급망에 코웰전자 등 중국 기업이 참전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LG이노텍 측은 ASP 하락 원인에 대해 "시장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고객사의 판가 인하 요구도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단가 하락은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 LG이노텍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견인하고 있는 광학솔루션부문은 지난 1분기 매출 4조138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7.8% 성장했지만, 영업이익은 반토막 난 734억원에 그쳤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지난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우려에 대해 "중국과 기술 격차가 나는 제품은 국내에서, 가격 경쟁이 심화되는 제품은 베트남으로 이전해 중국 경쟁사와의 가격 싸움에서 밀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LG이노텍은 생산지 이원화와 함께 AX(AI Transformation)를 활용한 원가 경쟁력 제고 활동도 지속하고, 고객에 선행기술 선제안 확대 등을 통해 수익성을 높여 나간다는 전략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