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부진에 자영업도 줄폐업...인구 감소로 내수 회복 난망

  • 카페·패스트푸드·음식점·호프 줄줄이 감소

  • 2050년 65세 이상 고령층 비중 40% 돌파

  • 전문가 "내수 부진 만성화 막기 위해 정년 연장 논의 시급"

 서울 중구 황학동 주방거리의 중고주방 가구 매장 모습
지난 3월 서울 중구 황학동 주방거리의 중고주방 가구 매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내수 부진이 올 1분기 카페, 패스트푸드점 등 자영업의 줄폐업으로 나타났다.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와 저출생 고령화라는 인구 요인까지 더해져 내수 부진 출구 찾기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25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TASIS) 100대 생활업종 사업자 현황 등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커피음료점은 9만5337개로 지난해 동기 대비 743개 줄어들었다. 커피음료점은 1분기 기준으로 보면 2018년 통계 집계 이래 매년 증가했지만 올해 처음으로 감소했다. 

커피음료점뿐 아니라 자영업 전반이 올해 1분기 크게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치킨·피자 등 패스트푸드점은 4만7803개로 1년 동안 180개 줄었다. 같은 기간 한식 음식점과 중식 음식점도 각각 484개, 286개 감소했다. 호프 주점과 편의점도 각각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802개와 452개 사라졌다.

자영업의 줄폐업은 내수 부진의 대표적인 단면이다. 이날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3월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 판매는 전월보다 0.3%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과 설비투자도 각각 전월 대비 0.3%와 0.9% 줄었다. 한국은행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지표에도 1분기 민간 소비는 전분기 대비 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가 가라앉은 1차적 원인은 경기 요인이다. 고금리·고물가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기업들이 투자를 꺼린 영향이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재화 및 서비스 소비가 급감하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기업들의 투자가 위축된 것 역시 경기적 요인의 영향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최근엔 인구 변화에 따른 구조적 요인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는 2020년 5183만명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또한 소비 성향이 낮은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중은 올해 20.3%에서 2050년 40.1%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 상태다.

관가 안팎에서는 인구 변화에 따른 구조적 요인이 내수 부진에 미치는 영향을 주목하고 있다. 경제 컨트롤타워인 기획재정부는 최근 인구 변화가 소비 및 내수 침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최근 '잠재성장률 전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노동 투입과 총요소생산성을 동시에 약화시켜 성장률과 소비 여력을 모두 제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구조적 요인으로 인한 만성적인 내수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 교수는 "호봉제 폐지,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정년을 연장하는 것이 기본적인 대책"이라며 "최근 대부분 선진국가는 65세에서 나아가 70세나 75세로 조정하는 안을 논의하고 있다. 정년 연장을 이룬다면 고령인구의 소비 성향도 높일 수 있고 재정에 대한 청년 세대의 부담도 낮출 수 있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