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K-푸드 플러스(농식품과 농산업 포함) 수출 확대를 위해 국제농업협력사업(ODA)을 연계한 민관 협력 모델을 만든다고 16일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서울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센터에서 주요 수출기업, 유관기관 등과 함께 K-푸드 플러스 수출 확대와 해외 진출기업 지원을 위한 ODA 연계 방안을 논의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농식품부가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는 ODA와 우리 농식품 수출기업의 해외 진출과 수출실적 확대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차원이다.
정부는 간담회에서 제기된 기업의 수요를 기반으로 민·관 협력 모델을 발굴한 후 ODA 협력국과의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구체화된 사업은 내부 절차를 거쳐 2028년부터 사업 착수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ODA로 해외에서 식품 원료를 생산하면 국내 가공을 거쳐 K-푸드 수출을 하는 식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수출기업들은 "국가별 비관세장벽 강화 추세 등 수출에 어려움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ODA를 통해 기업이 직접 투자하지 못하는 분야에 지원하는 것은 K-Food+ 수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는 베트남에서 추진된 '무병 씨감자 생산 및 보급시스템 구축사업'을 통해 현지 진출한 우리 기업의 원료공급망을 구축한 경험을 근거로 민관협력 모델 추가 발굴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혜련 농식품부 국제협력관은 "K-푸드 수출은 국가 경제뿐만 아니라 국가브랜드 제고, 농업소득 증대, 농업과 식품산업 연계 등에 기여하는 중요한 정책"이라며 "국제농업협력사업을 통해 수출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서울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센터에서 주요 수출기업, 유관기관 등과 함께 K-푸드 플러스 수출 확대와 해외 진출기업 지원을 위한 ODA 연계 방안을 논의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농식품부가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는 ODA와 우리 농식품 수출기업의 해외 진출과 수출실적 확대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차원이다.
정부는 간담회에서 제기된 기업의 수요를 기반으로 민·관 협력 모델을 발굴한 후 ODA 협력국과의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구체화된 사업은 내부 절차를 거쳐 2028년부터 사업 착수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ODA로 해외에서 식품 원료를 생산하면 국내 가공을 거쳐 K-푸드 수출을 하는 식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수출기업들은 "국가별 비관세장벽 강화 추세 등 수출에 어려움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ODA를 통해 기업이 직접 투자하지 못하는 분야에 지원하는 것은 K-Food+ 수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정혜련 농식품부 국제협력관은 "K-푸드 수출은 국가 경제뿐만 아니라 국가브랜드 제고, 농업소득 증대, 농업과 식품산업 연계 등에 기여하는 중요한 정책"이라며 "국제농업협력사업을 통해 수출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