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증시 상장사 1분기 분기배당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에 따라 기업들의 주주환원 의지가 강해지면서 분기배당에 나서는 상장사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모습이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올해 1분기 분기배당을 실시한 상장사는 총 26곳으로 집계됐다. 배당금 총액은 5조169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1개사·4조7021억원) 대비 기업 수는 19%, 배당금은 10% 증가했다. 이는 1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다.
국내에서 분기배당을 실시하는 기업 수는 2011년부터 2021년까지 한 자릿수에 머물렀으나 2022년 15개사, 2023년 19개사, 2024년에는 21개사로 꾸준히 늘었다. 올해 1분기 들어서는 처음으로 26개사가 분기배당에 나섰다.
특히 국내외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도 배당 확대 기조가 이어졌다는 점은 의미가 깊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재부상 가능성, 국내 정치 불안 등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 상존한 가운데서도 기업들이 주주환원 강화에 나섰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 분기배당을 실시한 주요 기업은 △포스코홀딩스(주당 2500원) △KB금융(912원) △SK텔레콤(830원) △신한지주(570원) △두산밥캣(400원) △SK하이닉스(375원) △삼성전자(365원) 등이다. 이 밖에도 HD현대마린솔루션(700원), BNK금융지주(120원), 젝시믹스(100원), 폰드그룹(50원) 등이 분기배당을 처음 도입했다.
특히 두산밥캣은 지난해까지 1분기 배당을 하지 않았으나 작년 말 발표한 주주가치 제고 계획에 따라 올해부터 매 분기 배당을 공식화했다. 기업들의 이러한 움직임은 단순한 정책 이행을 넘어 투자자 신뢰 확보와 장기 주주 유치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경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 정기 주총 안건 분석 결과 배당기준일 변경을 위한 정관 변경 기업이 70곳, 중간·분기배당 도입 기업은 7곳, 감액 배당을 추진한 기업은 20곳으로 나타났다”며 “이런 변화가 강제된 것이 아니라 기업들의 자발적 참여에서 비롯됐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정부가 지난해 도입한 밸류업 프로그램 이후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제출한 기업은 총 152곳에 이른다. 한국거래소는 27일 ‘밸류업 1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하고, 우수기업 10곳을 선정해 표창할 계획이다. 이어 6월에는 ‘밸류업 지수’ 구성 종목에 대한 첫 정기 리밸런싱도 단행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