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홈플러스 인가 전 M&A 시 2조5000억원 규모 보통주 무상 소각"

사진홈플러스
[사진=홈플러스]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의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이 진행될 경우, 자사가 보유한 2조5000억원 규모의 홈플러스 보통주를 무상 소각해 손실을 감수하겠다고 13일 밝혔다.

홈플러스의 최대주주인 MBK는 이날 성명을 통해 "홈플러스는 보유 부동산 가치가 높지만, 최근 영업 부진으로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높게 평가됐다"며 "청산을 피하고자 인가 전 M&A를 추진 중이며, 이를 적극 지지하고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회생법원에 제출된 회계법인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법원은 회생절차 유지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회사 측은 회생계획 인가 전 새 인수자 유치를 유일한 해결책으로 보고 법원에 인가 전 M&A 허가를 신청했다.

MBK 관계자는 "인가 전 M&A는 기존 주식을 매각하는 일반적인 방식과 달리 신주를 발행해 새 인수자가 대주주가 되는 구조"라며 "이에 따라 당사가 보유한 홈플러스 보통주 2조5000억원 규모는 무상 소각되며 경영권을 포함한 모든 권리를 내려놓고 아무런 대가 없이 최선을 다해 M&A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MBK는 인가 전 M&A가 성사될 경우 새 인수자의 자금을 활용해 회생채권을 상환하고 부채를 대폭 줄여 정상적인 경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MBK 관계자는 "대한통운, 팬오션, 대한해운, 쌍용차, 이스타항공 등에서 유사한 구조로 성공한 사례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MBK파트너스는 2015년 영국 유통기업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 지분 100%를 약 7조2000억원에 인수했지만, 내수 침체와 유통업 불황으로 매각에 잇따라 실패했다. 법원이 이번 인가 전 M&A 추진을 승인할 경우 다음 달 10일로 예정된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은 연기된다. 이에 따라 매각 주간사 선정, 실사, 입찰 절차가 본격화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