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재무 "협상 성실히 임한 국가도 저항한다면 다시 상호관세 부과"

  • 상호관세 유예 가능성은 불확실…"트럼프 대통령에 달려 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유예 기간의 연장 여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서 주요 교역국들을 상대로 막판 압박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미국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유예 여부와 관련해 “그건 트럼프 대통령에 달려 있으며 난 어떤 국가에도 (유예가 가능하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와 신의성실하게 협상하는 국가들이 있지만, 그들은 만약 우리가 그들의 저항 때문에 결승선을 넘지 못한다면 우리가 4월 2일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일괄 발표한 뒤 4월 9일부터는 90일간 유예 조치를 시행하며 주요 교역국들과 무역 협상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유예 시한인 7월 8일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못한 국가는 다음 날인 9일부터 자동으로 상호관세가 다시 부과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행정부는 협상 태도가 성실한 국가들에 대해선 유예 기한을 넘겨 협상을 지속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둔 상태지만, 정작 최종 결정권자인 트럼프 대통령은 '유예 연장'보다는 개별 국가에 일방적으로 관세율을 통보하는 방식에 무게를 두고 있어 향후 전개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베선트 장관은 18개 주요 교역국 중 몇 개 국가와 7월 9일 전에 협상을 타결할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 “두고 보자”면서 “늘 그렇듯이 마지막 주에 다가가면 압박이 커지면서 (협상이) 바빠질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미국의 협상 상대국들이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내리겠다는 ‘(너무 좋아서) 믿기 어려운 제안’을 들고 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현재 논의에서 환율 문제는 포함돼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목재 등 특정 품목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우리가 지금 협상하는 것은 상호관세다. 232조는 시행하기까지 더 오래 걸린다. 그러니 그게 어떻게 될지는 두고 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