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시는 3일 산내면행정복지센터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향토 기업 ㈜황남빵과 경주 팥 생산 농가 대표 간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역 농산물의 안정적 소비처 확보와 전통식품 산업과의 연계 강화를 목표로 추진됐으며, 경주 팥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전망이다.
현재 경주시는 총 233농가, 91ha 규모로 팥 계약 재배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농가의 소득 안정과 팥 소비 확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2011년부터 본격화한 팥 생산 단지 조성 사업과 함께, 계약 재배 체계를 초창기부터 도입해 온 점은 경주 팥 산업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해 왔다.
최근 국민적 관심이 높아진 건강식품과 전통식품 시장에서 국산 팥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시는 품질 높은 지역산 팥을 전통식품 산업과 연계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체결한 황남빵은 창립 이래 국내산 팥 만을 사용해 온 경주의 대표 향토 기업으로,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에서 재배된 팥을 우선 구매하고 품질 향상과 지역 농가와의 동반 성장을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협약식 당일 주낙영 경주시장은 현장을 찾아 ‘경주 팥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주재하고 생산 농가와 직접 소통했다.
주낙영 시장은 “경주 팥은 지역 농업의 중요한 전략 품목으로, 행정과 농가, 기업이 함께 협력해 전국적으로 경쟁력 있는 품목으로 성장 시켜야 한다”며 강한 의지를 밝혔다.
또한 최근 반복되는 이상기후로 인한 팥 생산성 저하에 대응해 경주시는 맞춤형 재배 기술 교육, 기후변화 대응형 영농 컨설팅 등 체계적인 농가 지원 정책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재배 안정성과 품질을 높이고, 농업 현장의 대응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둘 방침이다.
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황남빵 최진환 이사는 “경주에서 자란 팥을 원료로 더욱 신뢰도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됐다”며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으로서 사명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경주시는 앞으로도 지역 농산물의 고부가가치화와 향토 식품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관 협력 모델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