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언팩] '울트라급' 성능, 가장 얇고 가볍다···'갤Z 폴드·플립7' 공개

  • 美뉴욕 브루클린서 갤럭시 언팩 2025 행사

  • '울트라급' 성능 예고··· AI 기능 기대

  • 보급형 'FE' 모델 공개··· 대중화 전략

사진삼성전자
[사진=삼성전자]
역대 삼성 폴더블폰 중 가장 얇고 가벼운 '갤럭시 Z 폴드7'이 베일을 벗는다. 높은 휴대성은 물론 '울트라급' 성능을 더해 폴더블폰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현지시간 9일 오전 10시(한국시간 9일 오후 11시) '갤럭시 언팩'을 개최한다. 이 행사를 통해 갤럭시 Z 폴드 7·플립 7, 플립 FE(팬에디션), 갤럭시 워치 8 기본 모델, 갤럭시 워치 8 클래식 모델 등을 공개한다. 

특히 삼성의 폴더블 스마트폰 신작 '갤럭시 Z 폴드 7'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외신 등 업계에 따르면 Z 폴드 7은 접었을 때 기준 두께 8.9㎜에 8인치 디스플레이, 무게 215g으로 예측된다. 칩셋은 갤럭시 S25와 마찬가지로 갤럭시용 스냅드래곤8 엘리트를 탑재했다고 알려졌다.

'갤럭시 Z 플립7'은 전작과 비교해 두께는 줄고 무게는 비슷한 수준이다. 두께는 접었을 때 13.7㎜, 펼쳤을 때 6.5㎜, 무게는 188g으로 예상된다. 또 플립7에는 삼성 시스템LSI가 설계한 엑시노스 2500 칩셋이 전량 탑재된다.

보급형인 '갤럭시 Z 플립7 FE'로 폴더블폰 대중화에도 고삐를 당긴다. 이 제품 역시 엑시노스 2500이 적용되며, 출고가는 100만원 미만에 책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 접근성을 높여 점유율 확대한다는 구상으로, 노태문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이 내건 목표와도 맞닿아 있다. 노 사장은 지난 2022년 언팩 행사를 통해 "2025년까지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절반을 폴더블로 채울 것"이라고 자신한 바 있다. 
 
사진아주경제 DB
[사진=아주경제 DB]
시장의 관심사는 출고가다. 앞서 수요 위축 우려로 '가격 동결'이 예상됐으나, 최근 불안정한 환율과 원자잿값 상승이 지속되면서 가격이 소폭 올라갈 것이란 관측이 더 우세한 상황이다.  

한편 삼성이 더욱 강화된 AI 폴더블폰을 내놓으면서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 간 대결은 더욱 치열해진 전망이다. 우선 애플은 내년에 폴더블폰 출시를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브랜드와의 경쟁도 만만치 않다. 지난 2일 중국 휴대폰 제조사 아너는 '매직 V5'를 공개했고, 샤오미의 '믹스 플립2', 비보의 'X 폴드5'도 시장에 승부수를 던졌다.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이 하락하는 사이 중국 업체들은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2021년 80%대를 넘겼던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32.9%까지 쪼그라들었다. 반면 △화웨이 23.1% △레노버 17.0% △아너 10.4% 등 중국 기업은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