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혼조로 마감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웃돌지는 않았으나 전월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되면서 물가 상승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었다. 관세 영향이 일부 품목에 반영되면서 우량주 중심의 매도세가 두드러졌다. 다만, 엔비디아의 H20 칩이 다시 대중(對中) 수출을 허가받았다는 소식에 기술주는 강세를 보였다.
1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36.36포인트(0.98%) 떨어진 4만4023.29,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4.80포인트(0.40%) 하락한 6243.76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37.47포인트(0.18%) 오른 2만 677.80에 장을 마쳤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도 예상치는 밑돌았으나 마찬가지로 전월과 비교해 상승폭은 커졌다. 특히 가전제품, 가구, 장난감 등 생활필수품에서 관세 여파가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런 흐름에 우량주 위주로 구성된 다우지수의 30개 종목 중 기술주를 제외한 모든 종목이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1.27% 오른 기술주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 임의소비재와 에너지, 금융, 의료건강, 소재, 부동산은 1% 이상 떨어졌다.
미국 최대 제약사 일라이릴리는 3.45% 떨어졌고 가정용품 전문 매장 홈디포도 3.10% 밀렸다. 월마트와 코스트코 등 대형 마트 체인도 약세였다.
한편 기술주는 강세 흐름을 보였다.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H20 칩에 대한 중국 수출 제한 조치를 해제하면서 엔비디아 주가가 4% 급등했다. 이에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4조1650억달러까지 확대됐다. 엔비디아 호재에 인공지능(AI) 업계 전반으로 온기가 퍼지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1.27% 뛰었다. 브로드컴과 TSMC, ASML도 강세였고 AMD는 6.41% 뛰었다.
시총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 중엔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아마존, 알파벳이 상승했고 메타와 테슬라는 1%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전망을 추적하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 반영된 9월 기준금리 25bp(0.25%포인트) 인하 확률은 54.4%로 하락했다. CPI가 상승하면서 금리 인하 기대도 낮아진 모습이다. 반면 동결 확률은 37.4%에서 44.1%로 올라섰다.
한편 시장에 반영된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0.18포인트(1.05%) 오른 17.38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