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트럼프 행정부와 긴밀히 소통하며 한·미 동맹을 양국이 모두 윈-윈(win-win)하는 방향으로 더욱 강력하게 심화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 후보자는 17일 오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을 통해 "국익 중심 실용 외교로 주변 4국과의 관계를 발전시키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미국과는 미래형 포괄적 전략 동맹을 발전시키겠다. 관세, 동맹 현대화와 같은 현안에 적극 대응하겠다"며 "경제, 군사, 안보, 첨단 과학기술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협력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가 가진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업 역량, 방위 산업을 포함한 군사력, 문화적 창의성, 민주적 역동성을 미국도 높이 평가하고 있다"며 "굳건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한·미·일 협력도 한층 공고히 하겠다"고 덧붙였다.
일본과의 관계를 두고는 "경제, 사회, 문화를 망라해 상호 국익을 위한 구체적 협력 방안을 찾아내 이행하고, 지정학적 위기 대응을 위한 한·일 공조를 위해 일측과 긴밀히 소통하겠다"며 "금년 일본이 의장국인 한·일·중 정상회의도 조기에 개최돼 3국 협력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과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성숙한 발전을 추진하겠다"며 "10월 말~11월 초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양국 정상 교류를 재개하고, 한·중, 한·일·중 협력의 선순환을 도모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안보 현안에 대해 한·중 간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는 한편, 서해를 포함한 우리 주권 사안에 대해서는 범정부 차원에서 단호하고 엄정하게 대응하겠다"고도 힘줘 말했다.
러시아와 관계를 두고는 "국제 정세를 주시하면서 정부 간 소통의 범위와 수준을 조절하고, 러시아에 진출한 우리 국민과 기업의 권익 보호를 위한 노력도 계속하겠다"며 "북·러 군사 협력에는 단호히 반대하면서 이것이 한반도 평화를 저해하지 않도록 국제 사회와 공조하겠다"고 다짐했다.
북핵 문제에 있어선 "한·미 간 긴밀한 공조하에 남북 간 긴장을 완화하고, 북한과 대화 재개의 길을 만들겠다"며 "단계적·실용적 접근법을 통해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구조 구축 프로세스를 병행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이날 인사청문회에선 조 후보자의 가족의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해 치열한 공방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각종 외교 현안에 대한 조 후보자의 입장과 이재명 정부의 실용 외교 실현 방안에 대한 설명도 있을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