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이 취임 후 첫 현장 방문지인 한구과학기술연구원(KIST) 바이오허브에서 "AI 바이오 기술개발, 바이오 데이터전주기 지원 등 국가적 로드맵을 제시하는 'AI 바이오 국가전략(가칭)'을 준비하겠다"고 했다.
배 장관은 21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KIST 바이오허브에서 이같이 밝혔다.
배 장관은 이날 취임 후 첫 현장으로 서울바이오허브를 찾아 주요 기업의 연구 현황을 듣고 바이오 산업계 연구자들과 대담했다.
그는 취임사를 통해 'AI 3대 강국 도약' 실현과 첨단바이오 등 미래 전략기술 확보를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AI를 중심으로 한 첨단기술 혁신의 흐름, 이른바 ‘커밍웨이브’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국가의 미래가 좌우될 것이라며, AI 기반 국가 대전환과 지속 가능한 혁신 생태계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바이오허브 입주기업 방문 후에는 산·학·연 AI 바이오 연구자들과 간담회를 가지고 AI 바이오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
남진우 한국연구재단 차세대바이오단장은 'AI바이오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국내외 AI 바이오 연구 성과, 최근 동향, 해외 정책 사례 등을 짚으며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이어 배 장관과 산·학·연 AI 바이오 연구자들의 자유 토론이 이뤄졌다.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AI바이오 분야 기술개발과 생태계 조성을 위해 △AI 바이오 연구개발(R&D) 연속성 확보 △고성능 AI 컴퓨팅 자원과 바이오 실험·제조 자동화 인프라 확충 △의료·바이오 데이터의 안전하고 유연한 활용을 위한 제도 정비 △AI+ 바이오 융합형 인재 양성 △병원·기업·대학 간 실질적 협력 모델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배 장관은 "AI는 단순 연구 보조 역할을 넘어 연구자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며 "전 R&D 투자와 함께 전 주기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I 바이오 국가전략(가칭)을 마련해 나가겠다"고도 했다.
배 장관은 "AI가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와 융합해 혁신적 연구성과 도출이 가속화할 수 있도록 AI 도입과 활용을 폭넓게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