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위기극복] 광역시·혁신도시도 피해가지 못한 인구소멸…뒤처지는 경쟁력에 줄어드는 인구

  • 부산·전북지역, 소멸 가속화에 지역 생산성 악화

  • 청년 이탈 가속…"산업·교육 융복합 전략 필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대한민국이 쪼그라들고 있다. 인구 329만의 도시도, 거점 혁신도시도 인구 소멸을 피하지 못했다. 지역 경제가 경쟁력을 잃자 주민들도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특히 인구 감소와 지역경제 침체는 맞물려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인구 감소는 생산가능인구 유출과 고령화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지역내총생산(GRDP) 저하로 귀결되는 악순환이다.

21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지역산업과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17개 광역시도 중 소멸위험지역은 8곳으로 조사됐다. 소멸위험지역은 소멸위험지수(20~39세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 값이 0.5 미만일 경우 소멸위험진입단계, 0.2 미만이면 소멸고위험단계로 분류된다. 전국 기준으로 △전남(0.329) △경북(0.346) △강원(0.388) △전북(0.394) △경남(0.444) 순으로 지수가 낮았다.

소멸위험지수가 낮다는 것은 젊은 생산가능인구가 부족하다는 뜻이다. 이는 곧 지역의 노동력 감소로 이어지며 1인당 GRDP까지 낮추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제2의 도시' 부산의 소멸위험지수는 0.490으로 광역시 중에서는 유일하게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65세 이상 인구가 23%에 달하며 20~38세 여성 인구는 11.3%에 불과했다. 특히 부산의 영도구는 소멸위험지수 값이 0.256으로 광역시 구 지역 중 최하위다.

한편 부산의 1인당 GRDP는 3476만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16위로 집계됐다. 전체 GRDP는 2023년 기준 103조2840억원으로 전년 대비 0.8% 증가하는 데 그쳤다. 뿐만 아니라 부산의 지역총소득(GRNI)도 하위권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부산의 1인당 GRNI는 3537만원으로 대구(3434만원) 다음으로 낮았다. 

김세현 부산연구원 인구영향평가센터장은 "시총 기준 100대 기업 중 부산에 있는 기업이 한 곳도 없다. 큰 기업이 없다는 것은 지역 청년들이 일자리를 얻기 위해 수도권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산업적인 압박이 반영돼 임금 격차로 나타나 인구 이탈을 가속화 시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혁신도시 가운데서는 광역시를 제외한 지역 중 전북이 대표적 위기지역으로 꼽힌다. 전북은 14개 시군 중 전주를 제외한 13곳이 소멸위험지역에 속할 만큼 인구 구조가 급속히 악화됐다. 1인당 GRDP도 3628만원으로 전국에서 네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소멸위험지수(0.394)와 1인당 GRDP가 모두 하위권인 전북은 인구 감소와 경제 침체라는 이중고를 겪는 대표적인 사례다.

전북의 행정·경제·문화 중심지인 전주만 유일하게 소멸위험지역에 속하지 않는 '소멸주의단계'다. 다만 좋은정치시민넷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주의 소멸위험지수 하락폭은 전년대비 -0.057포인트로 전북 내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혁신도시가 위치한 전주 역시 인구 유지 동력이 사라지고 있다는 얘기다.

이처럼 광역시와 혁신도시 모두 인구와 경제 기반을 동시에 잃어가고 있다는 것은 분산형 개발에 기댄 균형발전 전략이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2007년부터 본격 추진된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다수는 공공기관 이전 이후 유의미한 인구 유입 없이 정체됐고, 산학연 협력·기업 입주·인구 정착률 등 주요 지표에서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전북혁신도시만 해도 산학연 협력건수는 2023년 기준 77건, 입주기업 수는 2024년 기준 780개에 불과하다. 일부 광역시급 혁신도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냈지만 이는 기존 인프라나 산업 기반에 기댄 결과다. 정주 여건과 산업 생태계가 충분히 조성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공공기관 이전만으로 자생적인 경제 성장을 이끌어내는 데 실패했다.

김 센터장은 "중앙정부가 제안하는 저출생 극복 방안에 지방정부들이 협력해서 이끌어나갈 수 있는 정책이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호 고용정보원 연구위원 역시 "인구감소·디지털전환 등 다중위기가 도래하는 시대에 미시적 접근으로는 청년들의 지방 이탈을 막기는 어렵다"며 "이들이 지방에서 정착할 수 있도록 산업부터 교육, 복지, 주거, 문화를 일자리와 연계하는 융복합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