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유권자 10명 중 6명 이상이 민주당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관세 정책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은 가운데서도 경제 현안을 다루는 데 있어 민주당보다 공화당을 더 신뢰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미국 유권자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5일(현지시간)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민주당을 부정적으로 본다는 응답은 63%에 달했다. 이는 WSJ가 1990년부터 정기 실시해온 정당 호감도 조사에서 35년 만에 가장 높은 민주당 비호감 수치다. 민주당을 호의적으로 본다는 응답은 33%에 그쳤다.
유권자 중에서는 관세·감세·인플레이션 대응 등 주요 경제 정책에 대해선 반대 의견이 찬성보다 많았지만, 해당 사안을 의회에서 다루는 데 있어서는 민주당보다 공화당 의원들을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7월 1일 의회를 통과한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법안에 대해 52%가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해당 법안에는 팁 소득 비과세, 노인 세금 감면, 초과근무 수당 감면 등 중산층 대상 혜택도 포함됐지만, 전체적으로는 부유층과 대기업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우세했다.
응답자의 70%는 법안이 부유층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고 절반 이상은 빈곤층·노동계층·사회보장 수급자·메디케이드 수혜자 등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봤다.
관세 정책에 대해서도 반대가 찬성보다 17%포인트 많았고, 인플레이션 대응 정책에 대한 반대도 찬성보다 11%포인트 높았다.
하지만 정책을 다루는 정당에 대한 신뢰도에서는 공화당이 민주당을 앞섰다. 관세 정책 관련 신뢰도는 공화당이 민주당보다 7%포인트 높았고, 인플레이션 대응은 10%포인트, 이민 정책은 17%포인트, 불법 이민 대응에서는 24%포인트 격차가 났다. 보건·백신 정책에 한해서만 민주당이 공화당보다 신뢰를 더 받았다.
WSJ는 민주당이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비호감도 반전을 위한 전략으로 트럼프 정책에 대한 유권자 반감을 활용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특히 감세법안이나 성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 관련 논란 등 민감 이슈를 여론전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하킴 제프리스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는 WSJ와 인터뷰에서 “향후 15개월간 유권자들에게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면 공화당 다수는 무너질 것”이라며 감세법안의 사회적 영향과 병원 피해 등 현실적 부작용을 집중적으로 부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